지구과학 용어 중에 모루구름이 무엇인가요?
NASA 우주정거장에서 지구의 구름을 보는 것이 대한 기사 중에
"사진 양쪽에 있는 웅대적운(Towering cumulus)은 대기가 불안정한 상태일 때 나타난다. 뇌우와 소나기를 동반하기도 한다. 중앙 위쪽에 있는 모루 구름(Anvil cloud)은 주변에 뇌우를 동반하며 나타났다." 내용에
모루구름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루구름은 적란운의 윗부분에 해당하는 구름으로 모루처럼생겨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적란운은 위아래로 길기때문에 수증기와 얼음알갱이간 마찰이 많이일어나고 이로인한 전기에너지 축적이 활발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적란운 상층에서 나팔꽃 모양으로 퍼진 구름의 일종으로 기본 10종의 모양에 들어가 있지 않은 변종 구름 모양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루 구름은 적란운의 상부에서 발생하는 구름입니다. 모루 구름은 빙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가장자리에 권운이 형성되기도 합니다. 모루 구름은 주변에 뇌우를 동반하며, 우박, 천둥, 번개, 강한 바람 등의 강력한 기상 현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분류에서 보충형의 하나로서 적락운의 상부가 섬유모양으로 넓고 편평하게 퍼져 있는 모루모양의 구름을 말한다. 보통 모루구름은 적란운이 발달하여 권계면 부근에 이르면 더이상 연직방향으로 발달하지 못하고 강한 풍속에 따라 옆으로 퍼질 때 나타난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루는 과거에 금속을 만들 때 금속을 다듬은 맏침대를 의미합니다.
구름이 모루를 닮았다고 해서 모루구름이 라고 하며 주로 적란운 위쪽에 나타납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적란운의 상부가 섬유 모양으로 넓고 편평하게 퍼져 있는 모루 모양의 구름을 말합니다. 보통 적란운이 발달하여 권계면 부근에 이르면 더 이상 연직 방향으로 발달하지 못하고 풍속에 따라 옆으로 퍼지면서 생깁니다.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모루구름(anvil cloud) 또는 모루 적란운(cumulonimbus incus)은 모루 모양으로 넓고 편평하게 퍼져 있는 적란운의 윗부분으로, 섬유나 줄기 조직이 나타납니다.
이 구름은 적란운 내부에 생긴 강한 상승기류가 대류권계면에 가로막혀 올라가지 못하고 옆으로 퍼지면서 생깁니다.
따라서 모루구름 꼭대기의 높이는 대류권계면의 높이와 같다.또 모루구름 위에 오버슈팅 탑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