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왜 초밥에 와사비가 들어가나요?
초밥 먹다가 궁금해져서 올려요.
왜 초밥에는 와사비가 들어가나요?
뭔가 더 감칠맛을 느끼게 해주기
위해서인가요? 어떠한 이유가 있나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알뜰한물총새161입니다.
일본에서 초밥이라는 음식이 널리 알려진 것은 예전 19세기 무렵입니다.
당시엔 요즘 같이 기술력 좋은 냉장고가 없었구요.
그렇다면 초밥의 재료인 생선을 갓 잡아 회를 떠서 먹는게 아니라면 싱싱하게 보관하는게 힘들었을 겁니다.
그래서 실제로 그 무렵 사람들은 초밥을 먹고 식중독에 걸리는 사례가 많았다고 합니다.
그래서 생각해낸 것이 살균효과가 있는 고추냉이(와사비)를 갈아 초밥과 같이 먹는 것 입니다.
와사비로 식중독균을 억제하고 또 와사비향으로 생선의 비린향을 잡아주므로 맛도 더 좋아지게 된 것 이지요
이같은 조리법이 요즘까지 이어져 있는 것이구요.
요즘은 신선하게 초밥을 먹을 수 있어, 식중독 걱정은 덜어졌지만 초밥에 와사비가 빠지면 뭔가 허전할 것 같네요 ㅎㅎ
안녕하세요. 기특한고슴도치297입니다.
초밥은 일본음식으로 와사비를 넣어 먹는 전통방식으로 와사비에는 항균작용 물질이 들어있어 식중독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식욕을 높이고 소화를 돕는 성분도 들어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