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적긴축과 경제의 관련성은어느정도 인가요?
모든 경제방송에서 긴축이란 말이 안나오면 방송자체가 안되는것 같습니다 들어서 대략적인 내용은 알지만 조금더 자세한설명을듣고싶습니다 감사함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긴축정책는 경기가 좋지않거나 과열시 해결책으로 실행하는 재정정책을 말하는데 인플레이션 상황으로 통화향증가로 화폐가치가 하락하여 물가가상승하는경우 물가를 조절하기위해서 화페가치를 상승시키는 정책을 긴축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의 자산시장 상승과 인플레이션의 상승은 시중에 자금이 풀려서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반대로 긴축정책으로
전과 같은 시장으로 되돌리려 하고 있습니다.
긴축정책은 시중에 자금을 회수하거나 안푸는 방향을 말합니다. 대표적으로 금리인상과 국채 매도 등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소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양적 긴축이라는 말은 말 그대로 시중에 풀려 있는 많은 돈을 회수하여 화폐량을 줄이겠다는 뜻입니다. 가장 큰 이유는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것이고요. 또한 양적 긴축의 대표적인 방법은 금리 인상이 있습니다.
지금 미국과 한국이 계속적으로 금리 인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긴축이라는 얘기가 매스컴에 많이 보도되고 있지요. 양적 긴축이 이루어지면 대출 금리의 부담으로 소비가 줄고 기업의 투자도 줄게 돼요. 잘못하면 경기 침체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양적긴축을 한다는 것은 화폐의 유동성을 줄이는 정책을 의미합니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을 하고 있는 것이 이러한 양적긴축을 하는 대표적인 정책입니다.
다시 돌아와 양적긴축을 하게 되면 시중에 있는 화폐의 유동성이 감소하게 되는데요. 양적긴축도 어떤 정책을 통해서 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지금의 양적긴축은 금리인상으로 전적으로 고통을 수반하는 양적긴축정책이라 기업과 개인 모두 이자비용 증가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개인의 경우는 이자부담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소비가 감소할 수 밖에 없고, 기업의 경우는 이자부담의 증가로 인하여 생산판매가를 올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구매력은 낮아지는데 가격은 상승하게 되는 것은 결국 기업들의 판매실적 부진으로 이어지고 장기화될 경우 기업들은 살아남기 위하여 구조조정과 같은 비용절감책을 내놓을 수 밖에 없습니다.
결국 현재와 빠른 속도의 양적긴축은 경기침체를 야기할 수 있습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양적 긴축이란 시중의 자산매입규모를 테이퍼링보다 더 빠르게 축소함으로써
경기과열을 막고 과도한 물가상승을 막는데 사용합니다.
채권의 만기가 되어도 이를 재투자하지 않고 판매함으로써 시중의 유동성을 흡수하는 등
시중의 돈을 빨아들여 물가상승 등을 억제한다고 보심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예슬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은 양적완화와 대비되는 말로 시장의 풀리는 돈의 유입을 줄인다는 개념입니다. 긴축은 대부분 금리인상을 통한 투자심리 위축부터 정부의 자산 매입을 줄이는 테이퍼링 그리고 매입한 자산을 매도하는 양적긴축(QT, Quantitative Tightening)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즉 테이퍼링 보다 더 심한 돈줄 옥죄기 수단으로 보시면 됩니다.
테이퍼링은 일반적으로는 연방준비제도(Fed)가 양적완화 정책의 규모를 점진적으로 축소해나가는 것을 말하는데, 이에 더 나가 양적긴축은 양적긴축은 시중에 돈을 풀지 않고 거둬들이는 단계로서,
1. 양적완화를 통해 국채등을 연준이 매입해 돈을 풀었다면 양적긴축시에는 만기가 된 채권에 대한 달러가 연준으로 들어오면 이를 그냥 '회수하는 방식이나,
2. 보다 더 적극적인 방법으로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채권들을 선제적으로 시장에 팔아서 달러를 거둬들이게 됩니다.
양적긴축의 효과에 대한 기사가 존재하는데,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s://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24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