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SUPERM
SUPERM

미국 주식과 우리나라 주식은 커플링으로 움직이는데요 그런데 지금까지 디커플링으로 움직일때가 있었는가요

우리나라와 미국 주식은 대부분 같이 움직이는 현상이 나타나더라구요 특히 미국의

나스닥과 우리나라 주식은그런것 같은데요 지금까지 디커플링으로 움직였을때는 언제

였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과 우리나라 주식은 오히려 디커플링화 됐을때가 더 많았습니다. 불과 작년이맘때부터 올해 5월까지만 하더라도 미국 증시는 꾸준히 우상향했지만 우리나라 증시는 하락세였습니다.

    1명 평가
  • 우리나라 증시와 미국 증시는 동조화(커플링) 현상을 보이지만 항상 그러했던 것은 아닙니다.

    2009년 금융위기 회복기, 2016~2017년 트럼프 대통령 시기,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초기, 2022년 금리인상 초기, 2024년 AI에 편중된 랠리 시기는 디커플링이 나타났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해외의 주식시장이나 국내 주식시장이나 결국 대외적인 혼란에 대한 투자자들의 자금 보존의 희망정도는 같다고 봅니다. 이번 대외적인 혼란은 트럼프로 인한것으로 이는 미국시장이 직접적이며 국내의 해외투자자들도 자금을 위해 매도하니 그렇고, 국내에서 잘생한 혼란의 경우 해외로 영향이 옮겨지지 않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주식과 우리 주식의 커플링에 대한 내용입니다.

    대체적으로 우리 주식과 미국 주식은 디커플링이었습니다.

    즉, 미국 주식이 오를 때에도 우리 코스피는 박스피라 불리면서

    상승을 하지 못하였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디커플링 현상을 보이는 시기는 주로 글로벌 경기 둔화와 함께 미국의 자국 우선 정책이 시행되는 시기입니다.

    2024년 후반에도 이와 유사한 현상이 나타난 바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미국 증시가 상승하면 한국도 동조하지만 간혹 디커플링이 나타납니다. 예를 들어 2020년 코로나 이후 미국은 기술주 중심 상승, 한국은 수출 위축으로 정반대 흐름을 보입니다. 산업 구조와 환율 차이가 원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21년도 이후부터 디커플링이 심했으며 또한 2010년후부터도 디커플링흐름이 강했습니다. 우선 2010년도 이후 미국의 빅테크를 중심으로 이익성장도가 신흥국보다 더 가팔랐으며 지금의 글로벌 플랫폼이나 AI기술과 첨단산업도 미국 빅테크를 중심으로 주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면 한국은 구경제산업으로 시총상위 기업이 2010년도부터 지금까지 큰 변화가 없다는점이며 거기다가 지나치게 물적분할과 IPO가 지나치게 많고 상폐는 거의없다보니 이익대비 주식수만 지나치게 증가하는 환경에서 한국과 미국증시간의 디커플링이 커진것이며 22년도부터는 개인들도 미국으로 대거 유입이 되면서 한국증시가 오랜기간 수익률이 뒤떨어지게 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 주식이랑 우리나라 주식은 기본적으로 커플링돼서 움직이지만, 완전히 같이 가는 건 아닙니다. 디커플링이 나타난 적도 몇 번 있었죠. 보기에 대표적인 시기가 2017년쯤입니다. 그때 미국은 경기 호황으로 나스닥이 계속 올랐는데, 우리나라는 반도체 사이클 조정 때문에 주가가 오히려 약했습니다. 또 2022년 초에는 미국은 긴축 전환으로 급락했지만, 한국은 이미 먼저 빠져 있어서 낙폭이 덜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미 증시가 커플링된 주요 시기는 주로 글로벌 경제 환경 변화와 산업 구조의 차이에서 비롯되었습니다. 2016~2017년 초반에는 미국이 트럼프 정부의 정책 기대와 IT 업종 주도의 랠리를 펼친 반면, 한국 증시는 대외 불확실성과 박스권 장세에 갇혀 따로 움직였습니다. 비교적 최근인 2021년 하반기 이후에도 미국 증시가 초 혁신 기업 중심으로 강세를 보일 때, 한국 증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와 공급망 및 물류 비용 증가의 부담으로 상대적 약세를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처럼 경제 주도 산업의 차별화와 대외 여건 민감도가 디커플링의 주요 원인입니다.

PC용 아하 앱 설치 권유 팝업 이미지장도연이 추천하는 아하! 앱으로 편리하게 사용해 보세요.
starbucks
앱 설치하고 미션 완료하면 커피 기프티콘을 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