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어의 다리가 뇌의 제어없이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문어의 다리는 뇌의 제어 아래 움직이는 사람의 팔다리와는 달리 자발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 뇌의 제어없이 다리가 움직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물고기등과 같이 중추신경계의 동물은 뇌에서 중추신경으로 전달하고 중추신경에 의해 움직입니다.즉 중추신경과 뇌가 끝어지면 움직일수 없습니다. 하지만 연체동물은 신경분포가 다리근육-신경계-뇌의 순서로 분포 되어 있어 뇌의 지시가 없어도 신경의 자극에 의해 다리를 움질일수 있습니다. 하여 다리가 잘려도 잘릴때 자극받은 다리신경세포에 의해 일정시간 움직일수 있는 것입니다.
문어나 낙지와 같은 생물체들의 신경이 독립적이기 때문입니다.
잘려나간 부분은 원해서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신경이 본능적으로 움직이는 것입니다.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신경세포 각각이 독립적인 전기신호를 내보낼 수 있기때문에 다리가끊어지더라도 주변근육에 자극을주어 움직이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생명체가 움직일 수 있는 이유는 전기적인 신호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이 뇌에서 명령을 내려 움직이는것도, 물고기, 문어, 낙지와 같은것들도 전부 전기적인 신호로 움직일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머리를 잘랐는데도 여전히 움직이는 이유는 반사적인 신경이나 독립적인 신경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인간의 경우 무릎 반사가 예인데 무릎 반사는 대뇌의 관여없이 반응하는 무조건 반응입니다. 무릎-척수-발 까지의 신경경로로 되어있죠. 이처럼 물고기, 문어, 낙지에게도 뇌와 독립적인 반사체계와 신호체계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잘게 잘라도 움직일 수 있는 이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