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심리상담

우울증·조울증

디스맨-Q847
디스맨-Q847

정신의학에서 가짜우울증을 어떻게취급하나요?

안녕하세요.

우울증은 뇌에 호르몬 이상이 생기는 병인데..

세간에서는 어떤 사람들을 가짜 우울증 패션 우울증이라며 비난하기도 하더라고요.

이러한 패션 우울증이라는게 실제로 있을까요?

또 그러한 사람들은 뇌의 호르몬은 정상인데 마인드가 부정적이라 힘든 것일까요?

또 어떤 사람은

정신과에서 우울증을 진단할 때 대화로만 진단한다며, 신빙성이 없는 과잉처방이라고 하던데.. 이에 대한 정신의학계의 입장은 어떤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우울증의 경우, 특별한 원인없이 생물학적인 원인으로 발생하는 경우와

    지속적/과도한 스트레스로 인한 우울증의 경우도 있지만

    (타인이 보기에 ) 별 문제가 없는데 , 컴플렉스 혹은 어린 시절의 경험 등으로

    주변에 대한 자극을 과도하게 인지하면서

    우울증이 발생하거나, 본인이 우울감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우울증에 대한 오해와 편견이 여전히 많아 안타깝습니다. '가짜 우울증'이나 '패션 우울증'이란 표현은 의학적으로 적절치 않아요. 우울증은 복잡한 질환이라 겉으로 봐서는 판단하기 어렵거든요. 증상의 강도나 표현 방식이 사람마다 다르고, 뇌의 생화학적 변화와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죠. 누군가의 고통을 섣불리 판단하거나 비난하는 건 바람직하지 않아요.

    우울증 진단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시는 분들도 계시더라고요. 하지만 정신과 진단은 단순히 대화만으로 이뤄지지 않아요. 전문의들은 오랜 훈련을 거쳐 환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표현을 종합적으로 관찰하고 표준화된 진단 기준을 적용해요. 필요하다면 혈액검사나 뇌 영상 검사 등도 활용하죠. 물론 의학이 완벽할 순 없겠지만, 현재로선 가장 과학적이고 신뢰할 만한 방법이에요. 앞으로도 계속 발전해 나갈 거예요. 우울증으로 고통받는 분들께 편견 없는 이해와 지지가 필요한 때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