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솔직한가재215
솔직한가재21524.03.03

턱관절문제랑 귀먹먹이랑 무슨 상관이있나요?

나이
17
성별
여성

왼쪽 턱디스크가 빠지고 몇주후에 청력은정상인데 귀가 먹먹한 느낌이 들어요. 아무래도 턱때문에 생긴거같은데 왜 생기는거죠? 턱을 안쓰면 없어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유민혁 의사입니다.

    턱관절 장애(TMJ)로 인한 청력 문제는 비교적 흔한 현상 중 하나입니다. 턱관절과 귀는 매우 가까워서 턱 문제가 귀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턱관절의 이상이 귀의 압력 변화나 귀 주변 근육의 긴장을 유발하여 먹먹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턱을 덜 사용하고 턱관절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적절한 치료를 받음으로써 개선될 수 있습니다. 물리치료, 턱관절 운동, 스트레스 관리, 턱관절 교정 장치 사용 등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되거나 청력 문제가 심해지면 이비인후과나 구강악안면외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상대적으로 보수적이라고 할 수 있는 이비인후과 의사들 사이에도

    청력과 턱관절에 대한 이야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치과와 카이로프랙틱하는 사람들은 이전부터 이야기 해왔구요

    병태생리 자체는 이해하기가 애매합니다

    요약하자면 신경이 압박되면서 증상을 유발한다는 이론입니다

    그래서 일단 증상이 있는데 잘 호전되지 않는 경우 한 번쯤 확인을 해보시는 것도

    바람직합니다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고막 및 청력 검사 등에서 문제가 발견되지 않더라도 장기간 귀 먹먹함이 지속될 경우, 메니에르병이나 상반고리관 피열증후군과 같은 난치성 질환 또는 턱관절 이상 등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턱관절 장애는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강한 외부 충격이나 격한 운동, 사고 등이 그 예입니다. 그러나 주로 잘못된 생활습관이 원인이 되어 발생한다고 합니다.

    턱을 괴거나 딱딱한 음식을 자주 먹는 습관, 이를 악무는 행동, 스트레스를 받을 때 손톱을 깨무는 등의 습관이 이에 해당됩니다.

    말을 많이 하는 직업군에서도 발병률이 높은 편이며, 턱관절 주변에는 중요한 신경과 혈관, 림프절 등이 몰려 있어 장애가 생기면 몸 전체의 균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턱관절이 한 번 손상되면 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중요합니다. 입을 벌릴 때 '딱' 하는 소리가 반복되거나 귀가 먹먹한 증상이 나타나면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턱관절 장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몸이 뻐근하고 스트레스를 받을 때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턱을 당긴 자세에서 귀가 어깨에 닿는 느낌으로 고개를 좌우로 움직여주면 턱관절이 이완되면서 피로가 풀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턱관절 장애와 귀의 먹먹함과는 큰 관련은 없습니다. 귀는 이비인후과에 가셔서 원인을 찾아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