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사랑스러운 레베카
사랑스러운 레베카

아이의 성취감을 높여주기 위해서 어떤게 좋을까요?

상을 받는것을 좋아하고 무엇이든 도전하는것을 좋아하던 아이가 학년이 높아질수록 이런것에 대한 번거로움과, 나태함을 느끼는데, 부모 입장에서 성취욕구를 높여주려면 어떤 도움을 줄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의 성취감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스스로 할 수 있는 일은 자기 스스로 해 볼 수 있는 경험을 제공해 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무언가를 함에 있어서 나태해지고, 하기 싫어한다면 지금 현재 스스로 해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

    자신의 일을 끈기와 인내심을 가지고 책임감을 가지고 수행 해야 하는 이유가 왜 인지를 아이의 이해를 도와가며

    적절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성취감의 도움을 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아이의 성취감은 단순한 결과보다 ‘과정에서의 의미’와 ‘스스로 성장하고 있다는 느낌’에서 비롯됩니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도전이 번거롭고 귀찮게 느껴지는 건 자신감이 낮아졌거나, 실패에 대한 부담이나 피로감 때문일 수 있어요. 이럴 때는 도전의 문턱을 낮춰 작은 목표부터 성취하게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오늘은 문제 3개만 풀어보자”처럼 부담을 줄이면 다시 도전의 재미를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결과보다 과정을 칭찬해주는 것이 내적 동기를 키우는 데 도움이 돼요. “끝까지 해보려 한 게 멋졌어” 같은 말이 아이에게 큰 힘이 되죠.

    스스로 선택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것도 좋아요. “이 중에 뭐부터 해보고 싶어?”처럼 물어보면 아이는 주도성을 가지고 움직이게 됩니다. 부모의 조급함보다는 아이의 눈높이에 맞춘 작은 응원이 성취욕을 되살리는 가장 큰 힘이 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성과보다는 아이의 노력과 시도에 칭찬을 해주세요

    스스로 목표를 세우고, 쉬운 도전을 꾸준히 하면서 루틴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함께 하거나, 부모님이 모범을 보여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거 같아요.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성취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결과 중심의 보상 방식보다는 과정과 노력을 칭찬하고 작은 목표를 세워 점진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학년이 높아질수록 과제와 목표가 복잡해지면서 도전이 부담이나 번거로움으로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부모는 아이의 흥미와 장점을 파악해 그에 맞는 도전 과제를 함께 계획하고 성취 경험을 반복적으로 쌓도록 격려해야 합니다.

    단순히 상이나 결과에 집착하기보다는 과정을 인정하고 실패 경험도 긍정적으로 해석해 주며 아이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성취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열린 대화와 피드백이 필요합니다.

    또한 새로운 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성취에 대한 내적 동기를 자극해 주는 것이 아이의 성취욕구와 자기주도성을 함께 키울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 아이의 성취욕구를 높여주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아이가 작은 성공을 반복적으로 경험하면서 자신감과 동기부여가 자라난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아이의 성취감을 높이는 실질적인 방법은

    작은 목표부터 설정, 과정보다 결과보다 '노력'을 칭찬하기, 실패도 성취의 일부로 받아들이게 하기, 아이의 언어로 성취를 시각화하기, 함께 기뻐하고 응원해주기, 성취가 타인의 인정보다는 자신감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성취감을 높이려면 결과보다 과정에 집중하는 환경을 만들어야 합니다. 작은 목표를 함께 설정하고, 도전 과정에서의 노력과 변화를 구체적으로 칭찬해주세요.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할 기회를 주면 동기부여가 강해지고 결과에 대한 주인의식도 생깁니다.

  • 안녕하세요.

    사실 성취 욕구라는 것은 스스로 느껴야 하는 감정에 가까워서, 보호자가 주입하거나 이걸 느끼도록 유도하는 게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가능한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아이가 스스로 뿌듯함이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독려해 주세요. 또한 아이가 성취했을 때 얻을 수 있는 보람과 감정을 강조하여 아이가 스스로 뿌듯함을 느끼도록 유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하고 싶은 것이나 가지고 싶은 꿈이 있다면 그것과 연계해 주셔도 도움이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