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물리 이미지
물리학문
뽀로로
뽀로로22.12.15

정말 추운 곳에선 뜨거운 물을 뿌려도 바로 얼 수 있나요?

어느 나라인지 지역인지는 모르겠지만

뜨거운 물을 뿌리니 바로 얼어서 땅에 떨어지는 영상을 본 적이 있습니다.

과학적으로 어떤 조건을 갖추면 그렇게 되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5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시베리아와 같이 겨울철에 영하 40도씨 이하까지 내려가게 되면 공중에 뿌린 물이 바로 얼어서 눈보라 처럼 날리게됩니다. 특이한 것은 찬물보다는 뜨거운 물을 뿌렸을 때 더 잘 언다는 것입니다. 1963년 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더 빨리 언다는 것이 발견되었고 이것을 음펨바 효과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추운곳에서 뜨거운물을 하늘로 뿌리면 바로 업니다

    그 이유는 아주 추운 날씨로 인해 바로 얼어버리는 것입니다

    그렇게 바로 얼려면 영하 -20이하로 내려가야합니다


  • 물의 어는점은 0도 이하이므로 영하 0도 이하에서 얼게 됩니다.

    정말 추운 곳은 영하 0도 이하일 테니 뜨거운 물이 즉시 식게 되어 얼음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래 조건만 맞으면 가능합니다.

    1. 물을 뿌릴 때 물이 최대한 흩어지도록 뿌릴 것. 표면적이 넓어야 물이 가지고 있는 열에너지를 빠른시간에 빼앗깁니다.

    2. 건조하며 추울 것. 온도가 낮으면 낮을 수록 습도가 낮으면 낮을 수록 좋습니다.

    도움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다른 많은 곳(나라)에서도 가능하겠지만, 실제로 미국 미네소타주에서 겨울에 끓인 물을 뿌리면 바로 얼어버리는 것을 경험할 수 있습니다.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차가워지기 때문이다. 젖은 바지도 빠르게 얼어버리기 때문에 눈 속에 꽂아서 세워놓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주위 온도가 너무 낮기 때문에 미세한 물방울이 분사가 되면 순식간에 얼어버리는 현상입니다. 참고로 인공눈을 만드는 원리도 이와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뜨거운 물이 뿌려지게 되면 공기와 닿는 면적이 늘어나게 되고 외부공기가 충분히 차가운 상태라면 뿌리자 마자 얼어붙을 수 있습니다. 과학적인 조건은 충분한 표면적의 확보라고 할수 있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