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기타 육아상담

은근히당당한단풍나무
은근히당당한단풍나무

아기 기저귀 떼기 어찌해야하는걸까요

23년 1월생 아들이예요. 이제 34갤차 됐는데..

아직 기저귀른 못떼서요ㅠ

아이마다 다르겠지만 두돌전에도 많이들 뗀다고하니 너무늦은거 아닌가싶어 조급해지고 아이 다그치게되고 그렇게되네요ㅠ 말이 늦게 트였지만 트이자마자 문장으로 얘기하고 표현력도 발음도 즣은데 배변관련해서는 표현을 1도안하고(마렵다는 표현은 고사하고 대변보고도 말을안하고 그냥 놀기바빠요ㅠ) 그래서 답답하기도하고 첫째아이라 어찌해야되는지도 모르겠어서...질문해봅니다. 늦은아이들은 보통 언제쯤떼나요? 그냥 기다리면되는걸까요? 변기거부가있는건아닌데 약간마렵다(제가 계속물어봐서) 해서 아기변기 앉히면 앉아있다가 안나오네~하고 다시 기저귀입히면 바로싸네요..ㅋ 어찌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기저귀를 떼는 시기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와 언어적 소통이 가능 해야 하고

    아이의 기저귀 떼기 신호를 잘 파악하는 것이 필요로 합니다.

    더나아가 아이에게 이제는 기저귀 친구와 헤어지고 새로운 변기 친구를 만나야 함을 알려주면서

    아이 스스로 기저귀와 헤어질 수 있는 마음의 준비 시간을 충분히 주는 것이 필요로 하겠습니다.

  • 아기의 배변 훈련이 궁금한 것 같습니다.

    기저귀는 빠른 경우에는 18개월 후 부터 가리기 시작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소변을 가리는 시기는 24개월 전후로는 20%정도가 낮 소변을 가릴 수 있고 30개월이 되어야 80%정도가 소변을 가릴 수 있다고 합니다. 아이가 기저귀를 불편해 할 때,기저귀가 보송보송할 때, 혼자 숨어서 응가를 할 때,쉬,응아 한다고 표현할 때,대소변 간격이 4시간 이상 벌어질 때 등을 살펴보면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배변 간격을 맞추도록 합니다. 처음에는 30분마다 변기에 간다던가 화장실을 간다던가 체크를 합니다.

    -배변 훈련을 하기가 가장 좋은 시기는 아이의 옷차림이 가벼운 여름이라고 합니다.

    -아이가 "화장실이 가고 싶다", "대/소변이 마렵다"는 적절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표현을 알려주셔야 합니다.

    -아이가 어린이집을 다닌다면 기관과 정보를 주고 받으며 일관성 있게 하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보육교사입니다.

    34개월이면 아직 정상 발달 범위안입니다. 보통 만 3세~4세 사이에 기저귀를 완전히 뗍니다.

    우선 압박 다그침보다 규칙적인 배변 루틴과 성공 경험을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34개월이면 아직 자연스러운 시기입니다. 보통 남아는 36-42개월까지도 기저귀를 차는 경우가 많습니다. 조급해하지 않아도 괜찮습니다. 아이가 말을 잘해도 '배변 신호를 느끼고 조절하는 능력'은 언어발달과 별개로 조금 더 늦게 자리 잡습니다. 지금은 기저귀 떼기 훈련기로 보고 마려운 느낌을 스스로 인식하게 돕는 단계에 집중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