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들이 아프면 보통 어떻게 행동하나요?
1-2살 아기들은 말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아픈 것을 말로써 알리지 못하는데 어떻게 아픈 것을 부모에게 알리나요? 우는 것 말고도 아픔을 알리기 위한 다른 행동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건강한 아이는 제때에 음식을 섭취하고 식량도 보통 일정합니다. 만약 아이의 식욕이 갑자기 변했다면 또는 섭취하는 양이 줄었거나 음식을 거부한다면 보통 병걸리기 전조현상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병에 걸리게 되면 정서가 변하게 되는데요, 놀기 좋아하던 아이가 갑자기 놀기 싫어하고 이유없이 울고 하면 보통 질병의 조기 현상이라고 할수 있겠습니다. 예를 들면 결핵성 뇌수막염은 신경계통에 증상이 나타나기전에 먼저 아이의 정서, 신경 또는 성격이 과격해 지거나 또는 갑자기 겁이 많아지거나 하는 증상이 먼저 나타나게 되고 다음 열이나고 그 뒤에 구토, 잠만 자는 증상들이 연이어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컨디션이 좋지 않으면, 평소와 달리 축 쳐져 있으며, 밥도 잘 먹지 않으며,
놀이도 하지 않는 등 엄마에게 계속 보채는 행동을 할 것입니다.
엄마는 아이가 아프면 직감적으로 바로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우는것 외에도 아이가 행동으로 표현할수있습니다.
아이가 평소와 다른 행동을 하거나 수면이 안좋거나 식사를 안하거나 할수도 있을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실크게 다르지는 않습니다
다만 아이가 많이 아픈경우에는
울음소리에 힘이 없고
아픈 것같은 느낌을 풍길때가 있습니다만
너무 어린경우에는 그러한 것도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안타깝게도 따로 그러한 행동이나
울음소리가 달라지지 않습니다
조금 예민한 부모라면 그러한 것들을 케치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사실상 매우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아프다면 우는 방법으로 자신의
통증을 호소하는 것입니다.
아직 감정표현 등이 원할하지 않고 언어가 되지 않기 때문에
우는 것으로 표현하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어디가 아픈지, 증상에 따라 하는 행동도 천차만별입니다..
자주 코를 파는 아이
혀를 자주 내미는 아이
자꾸 귀를 긁는 아이
눈을 수시로 비비는 아이
눈을 맞추지 못하는 아이
코를 심하게 고는 아이
등.. 원인에 따라 증상이 너무나도 다양하다는 것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