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커버드콜 ETF 명칭에는 '15%프리미엄'과 같은 표현을 못 쓴다고 하는데요. '15%프리미엄'의 표현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앞으로 커버드콜 ETF 명칭에는 '15%프리미엄'과 같은 표현을 못 쓴다고 하는데요.
'15%프리미엄'의 표현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자산운용과 미래에셋자산운용, 한국투자신탁운용 등 상위권 자산운용사들이 해외 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전략의 ETF를 대거 출시하면서 관련 표현을 남용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국은 공시서식을 개정해 증권신고서 심사를 엄격하게 할 방침입니다. 국내 자산운용사들이 원금을 잃을 가능성이 있는 상장지수펀드(ETF)에 손실 볼 위험이 없는 듯 교묘하게 상품 이름을 구성하자, 금융감독원이 제동을 걸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 ETF 명칭에 '15%프리미엄'과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주요 이유로는 다음과 같습니다.
오해의 소지: '15% 프리미엄'이라는 표현은 투자자에게 해당 ETF가 매년 15%의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처럼 오해를 줄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커버드콜 전략이 항상 일정한 수익을 보장하는 것이 아니며, 시장 상황에 따라 수익률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광고 규제: 금융 상품의 명칭이나 홍보 자료에서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표현을 사용하는 것은 규제 기관(예: 금융감독원, 증권거래위원회 등)의 규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는 투자자를 보호하고 투명성을 유지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과대 광고: '15% 프리미엄'이라는 표현이 과대 광고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이는 실제 투자 성과가 그보다 낮을 경우 투자자에게 실망을 주고, 법적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변동성 고려 부족: 커버드콜 전략은 주식의 가격 변동성과 옵션의 프리미엄에 따라 성과가 달라지므로, 특정 수익률을 명시하는 것은 변동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은 것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커버듴콜의 상품들에서의 15%는 확정 수익률이 아니라 자산운용사가 15%의 분배금이 나오는 것을 목표로 콜 옵션을 팔겠다는 의미이기 때문입니다.
이에 금감원은 투자자들이 목표 수익률을 확정 수익률로 오해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시정 조치에 나섰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 ETF 명칭에 '15% 프리미엄과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주로 투자자 보호와 관련된 규제 및 오해 방지 때문입니다. '15% 프리미엄이라는 표현은 투자자들에게 매년 15%의 수익을 보장하는 것처럼 오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실제 투자 성과와는 무관하게 잘못된 기대를 줄 위험이 있습니다. 커버드콜 전략의 수익률은 시장 상황에 따라 변동되므로, 특정 수익률을 명시하는 것은 투자자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금융 당국은 투자 상품의 명칭과 광고에서 과장되거나 오해를 일으킬 수 있는 표현을 금지하며, 이는 투자자 보호를 위한 조치입니다. 투자 상품의 명칭은 해당 상품의 특성과 리스크를 명확히 전달해야 하며, '15% 프리미엄과 같은 표현은 이러한 투명성을 저해할 수 있습니다. 커버드콜 ETF의 실제 수익률은 시장 변동성, 옵션 프리미엄, 주가 움직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특정 수익률을 명시하면 실제 성과와의 괴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투자자들이 특정 수익률에만 집중하게 되면 투자 상품의 리스크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5% 프리미엄과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투자자들이 잘못된 기대를 가지지 않도록 하고, 금융 상품의 투명성과 규제 준수를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이러한 규제는 투자자 보호를 목적으로 하며, 투자 상품의 실제 성과와 리스크를 명확히 전달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의 15% 10%라는 높은 분배율이 자칫 투자자들에게 확정 수익을 준다는 표현으로 오인을 하고 있고 이로 인하여 안정적인 배당과 현금흐름이 가능하다는 심리하에 투자자들이 수요가 매우 높아서 금간원이 이에 대해서 조치를 취한것입니다.
즉 커버드콜의 15%프리미엄은 실제 15%에 목표에 맞춰서 운영을 하고자 하겠다는 의미지 실제로 15%가 나오는 상품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거기다가 더 큰 문제는 이 상품은 콜옵션 매도와 동시에 기초자산인 현물을 매수하는 (일반적으로 콜옵션을 매도한 상품과 동일한 주식이나 지수) 전략을 취하는데 이는 기초자산이 하락하게 되면 커버드콜 상품도 그대로 하락하는 구조이고 이는 원금손실을 볼수 있는 상품이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이렇게 원금손실을 보게 되면 최초의 산 기준가격의 15%가 아닌 떨어진 그 기준가격에 15%수준으로 다시 분배를 목표로 주는 상품이기 때문에 실제 내가 산 가격의 15%분배가 아니므로 실제 성과를 보면 15%다 더 떨어진 분배금이 투자자를 받게 되는 구조일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예시 만원짜리 커버드콜 상품 매수 15%분배는 이때 만원가격기준 한달뒤 9000원으로 하락 그렇게 되면 만원이 아닌 9000원 기준으로 15%분배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커버드콜 ETF 명칭에 '15% 프리미엄'이라는 표현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는 투자자들이 혼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 표현은 고정된 수익률을 보장하는 것처럼 보이게 하여 실제 투자 위험을 잘못 이해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금융 규제 당국은 정확하고 명확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규제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해서 투자자들이 올바른 정보를 바탕으로 안전하게 투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앞으로 커버드콜 etf에 15% 프리미엄 같은 표현을 사용할 수 없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렇게 명칭을 사용하면 투자자들이 이 수치가 확정적인 수익률로 오해할 수 있기 때문으로
투자자들에게 혼선을 주지 않도록 사용하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산운용사들이 해외 지수를 추종하는 커버드콜 전략의 ETF를 대거 출시하면서 관련 표현을 남용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운용사가 내세운 목표일 뿐 확정된 수익이 아니지만, 투자자들이 오해하기 쉬워 투자에 유의가 필요합니다. 공시서식을 개정해 증권신고서 심사를 엄격하게 할 방침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