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새까만거북이158
새까만거북이158

건강검진 시기에 대해 확인 및 진행하는 방법과 검사 목록.

성별
남성
나이대
38

목표하는바가 있어 최근에 퇴사를 했습니다.

직장에 있을때는 주기적으로 건강검진을 진행했기 때문에딱히 신경을 안쓰고있었습니다.

기본적인것들이긴해도 어쨌든 했으니까요.

퇴사한지 이제 한달정도 되어가고 몇일전에 어머니께 안부전화를 드렸더니 시기가되어서 건강검진을 받았다고 하시더군요.

그래서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1. 자신이 마지막으로 건강검진을 언제 받았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2. 자신이 이번에 건강검진을 받을 대상이 맞는지 확인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3. 직장에 있을때는 기본적인 항목들만 했었는데요 당시 가슴쪽 CT도 찍었던거 같던데 이게 폐도 확인이 되는건가요? 아니면 폐 상태를 확인하고 싶으면 항목을 추가해야하나요?

  4. 최근들어 장이 약해진건지 뭐가 문젠지는 모르겠지만 설사를 쉽게 하는편입니다. 위 / 대장 내시경중 뭘 해야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1. 2는 건강보험공당에 문의를 해보시면 됩니다.

      1. 흉부CT를 촬영하셨다면 폐는 포함이 된 것입니다. 폐상태를 확인하고 싶으시면 저선량흉부CT를 촬영하시면 됩니다.

      2.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건강검진이 아니라 진료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환자분의 경우는 설사를 하기 때문에 소화기내과 진료를 받아보셔야 합니다. 건강검진은 환자분의 증상과 관련없이 성별, 연령별에 따라서 가능성 높은 질환을 검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분의 증상에 가장 관련이 있는 검사를 고른다면 복부CT, 대장내시경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건강검진을 받았는지 확인하려면, 이전에 검진을 받았던 병원이나 건강검진 기관에 문의하거나, 건강보험공단 웹사이트를 통해 본인의 건강검진 내역을 조회할 수 있습니다. 퇴사 후에도 개인적으로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으므로, 검진을 미루지 말고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중요해요.

    38세는 기본적으로 2년에 한 번 건강검진을 받는 것이 권장되며, 특정 증상이나 가족력이 있다면 추가 검사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가슴 CT는 폐도 포함된 흉부 장기의 검사이기 때문에 폐 상태를 일부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폐 질환에 대해 더 자세히 확인하고 싶다면, 폐 기능 검사나 흉부 CT와 같은 추가 항목을 요청할 수 있어요. 설사를 자주 하신다면, 대장 내시경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사가 대장과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대장 내시경으로 장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위에 문제가 있다면 위 내시경도 함께 고려해보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1. 마지막 건강검진을 받았던 시기는 국민건강보험 공단에서 접속하여서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건강iN 탭에 들어가셔서 건강검진결과 조회를 하시면 연도별로 받은 검진 기록을 열람할 수 있으며, 공동인증서로 로그인하여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2. 건강검진의 경우 만 20세 이상의 성인남녀에서 2년에 한번 대상자가 되고, 짝수년도 출생자의 경우 짝수해, 홀수년도 출생자의 경우 홀수해에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자세한 부분은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3. 가슴쪽 CT를 촬영하게 되면 일반적으로 폐야 전반을 호가인할 수 있습니다. 다만 폐 상태를 정확히 확인하기 위해선 저선량 폐 CT를 촬영하여 정밀하게 볼 수 있습니다.

    4. 설사를 쉽게 하는 경우에는 대장내시경을 먼저 시행해 보시는 것이 좋겠으나 그 이외에 장 증상이 있다면 위내시경도 시행해 보시는 것이 좋을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