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2026gogogo
2026gogogo

우리나라에서 대기업의 승계가 외국에 비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우리나라에서 대기업의 승계가 외국에 비해 많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외국에서는 가족승계가 적다고 알고있는데 우리나라만 그런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대기업에서는 가족이 주요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녀나 친척들이 회사의 핵심 지배권을 이어받는 구조입니다. 이는 지배주주와 경영진이 일치하는 형태로, 경영권 안정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작용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리나라는 기업을 개인의 소유로 생각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 따라서 승계를 결정하는 것도 개인적으로 결정하는 것입니다.

    • 반면에 외국은 주식시장에 공개된 기업은 더 이상 개인의 것이 아니기 때문에

      승계를 하지 않고 전문적인 기업인에게 경영을 맡기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한국에서 대기업의 가족 승계가 외국에 비해 많은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국의 가족 중심의 유교문화, 한국 대기업들의 순환출자 구조로 인한 기업 지배구조, 상속세 및 증여세 등이 원인으로 거론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영균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한국의 가족 중심적 문화 그리고 재벌경제가 큰 비중으로 되어 있는 대한민국의 산업속에서 만약 전문경영인으로 승계가 이루어지지 않고 운영이 된다면 일관된 경영방식이 나오지 않고 변화의 흐름이 크게 올 수 있기 때문에 승계를 하여서 안정적으로 운영을 하고자 하여 해외보다는 승계가 많이 이뤄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대기업의 가업승계가 많은이유는 정부나 국민의 대기업의 가업승계에 상당히 긍정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만약 법률적으로 이에 대한 제한이나 세금이 많다면 어려울 것이라 생각하지만 그런부분이 덜하며, 기업들의 회사를 성장시키는 것보다 하나의 회장의 재산이라 생각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요 기업의 태생이 창업주와 창업주의 일가에 의해서 지배 되며 이어져 왔기 때문입니다. 미국 및 유럽 서구의 기업은 장기간에 걸치면서 오너 일가는 일선에서 후퇴하여 지분을 매각하거나 일부 보유하며 배당금만 수취하며 전문 경영인이 이사회 중심으로 회사를 경영하는 사례가 많습니다.

    오너 일가 중심의 경영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의 영향도 크나 시간이 지나면 지날 수록 서구의 이사회와 전문 경영인 위주로 서서히 개편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