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친수성'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흔히 가정에서 기름과 물은 섞이지 못하는 구조로 인하여 주방 세제를 사용하여 설거지를 하잖아요. 계면활성제 성분이 물과 기름의 구조를 어떤식으로 변화를 시켜서 섞이게 만드는 것인가요?

반대로 세차를 하고 왁스를 바르는 것은 '소수성'을 띄게 하여 차체 표면에 빗물이나 오염물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 작업이라고 생각을 하면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알기쉽게 계면활성제를 예를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

      계면활성제는 한쪽은 친유성기, 한쪽은 친수성기입니다.

      그래서 친수성기는 말 그대로 물분자와 친하여 물분자에 둘러쌓이게되고,
      친유성기는 기름때와 친하여 기름때를 둘러쌓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다음 사진처럼

      기름때는 친유성기에 의해 떨어져 나오고 물과 섞일 수 있게 되빈다.

      왁스는 소수성을 띠게하여 빗물에 의한 얼룩을 방지해줍니다.

      감사합니다.

    • 세제의 계면활성제 성분에 의해 세제 분자의 한 쪽은 물에 잘 녹고, 다른 한 쪽은 기름에 잘 녹습니다.
      물과 기름의 구조를 변경하는 것은 아닙니다.

      세차에 관해서는 말씀하신 것이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세제에 포함된 성분(분자)에는 친수성과 친유기성을 띠는 성질을 가진 분자가 존재합니다. 그래서 기름 부분에는 친유기성이 기름 입자를 감싸게 되고 감싼 부분 표면은 친수성의 성질을 띠기 때문에 물에 잘 녹을 수 있죠. 그래서 기름 제거할 수 있습니다.

      세차를 하고 소수성이나 발수성을 띠는 성분을 통해 코팅 작업을 합니다. 소수성이나 발수성은 물과 결합하지 않는 성질을 띠기 때문에 빗물이나 오염물이 차 표면에 떨어질 경우 그대로 흘려내려보내게 되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오현수 과학전문가입니다. 우선적으로 용매화에 대해 말씀드려야 합니다. 물질이 녹는다는 것은 용질 분자가 용매 분자에의해 둘러쌓이게 되는 것을 의미하지요. 계면활성제와 같은 양친매성 물질은 기름이나 물에 둘다 상호작용할 수 있는 물질이지요.

      분자의 구조 자체를 변화시키는 것이 아닌 계면활성제가 용매와 용질 분자에서 서로 상호작용하여 서로 잘 섞이데 하는 역할입니다.

      자동차의 코팅같은 경우는 일반적으로 소수성 물질이라 가정한다면 이는 소수성 상호작용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이는 같은 특성을 가진 물질들이 서로 모이게되고 극성분자를 밀어낸다고 보면 되겠지요. 그렇기에 극성 분자에 속하는 빗물등을 더 용이하게 튕겨낼수 있겠네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