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단정한산양75
단정한산양75

김치에 붙어 있는 하얀색 곰팡이 같은 거 뭔가요?

안녕하세요. 냉장고에 오래된 김치가 있습니다.

약간 색깔이 갈색으로 변하고

하얀색의 물질이 붙어있어서

버렸습니다. 혹시 이게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IMMUNIZE
    IMMUNIZE

    골마지라고 부릅니다. 다만 유산균이 아닌 효모라고 불리는 "별개의" 종류이며 먹었을 때 인체에는 유해하지 않으나 별 맛은 없습니다.

    물론 발효 과정에서 생기는 것도 아닙니다. 골마지는 보통 김치의 산도가 높아지는 과정에서 유산균들이 살기 힘든 환경이 조성되어 사멸하면, 남은 효모들이 수를 불리며 증식하는 현상이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발효 후기, 즉 유산균들이 다 죽어나간 시점에서야 생기지 발효가 활발히 진행되는 시기에는 생길 수도 없고, 생겨서도 안 됩니다. 만약 생겼다면 그 김치는 뭔가 문제가 있단 소리에요.

    골마지는 김치가 상하기 직전이라는 신호와 다름없기 때문입니다. 유산균이 김치에 많이 있다면 유해균이 들어와도 증식이 어렵거든요. 그런데 골마지는 그 반대의 경우고, 이미 효모라는 다른 생물이 증식하기 시작했다는 거니 머지않아 다른 생물체(곰팡이, 각종 균류)에게 점령당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버리거나, 최대한 빨리 먹어치우는 게 보통입니다.

    갈변의 경우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김치는 유산균에 의해 발효가 되는 음식인데, 유산균이 김치를 발효하며 젖산과 초산을 만들게 됩니다. 이 두 물질이 배추 내의 엽록소(초록색)과 반응하면 색이 변하게 되는데, 이게 갈변 현상입니다. 다만 김치 관리를 잘 못해서 갈변이 생기는 경우가 꽤 있는 편이기에 의심스럽다면 먹지 말고 버리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하얀색이 아닌 다른 색이 섞여있다면(초록, 노랑, 검정 등) 곰팡이가 피었단 뜻입니다.(푸른곰팡이 등) 바로 버리시면 되겠습니다.

  • 해당 부위를 걷어내고 드시면 될것 같네요.

    발효되는 과정에서 생기는 덩어리인데, 이게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김치가 흐물해져서 먹기 불편해지더라고요.

    발견하였다면 걷어내고 먼저 드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 저는 현직 김치유통회사에 13년째 재직중인 사람입니다

    김치는 발효시켜 먹는 식품으로써 쉽게말해 하얀색은 골마지라고 해서 발효되는과정에서 생기는 유산균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골마지라고 검색해보시면 이해가 더 되실거 같구요 다만

    하얗게 낀 골마지를 방치해두면 그 부분에 김치는 물러져 풀어집니다 걷어내시는게 가장 좋고

    섭취하여도 전혀 무관합니다

    이 같은 현상은 김치국물에 담궈져있으면 끼지않지만 국물에 잠겨있지않고 노출되있는부분에 주로 끼게됩니다

    이 곰팡이균이 푸른색을 띈다면 그건 먹을수없는 진짜 해로운 곰팡이니 즉시 버리셔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