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뽀로로
뽀로로23.04.14

다육이는 어떻게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자라는건가요?

대부분의 식물들은 충분한 햇빛과 물이 있어야 잘 자라나게 되는데 다육이라는 식물의 경우에는 일반 식물에 비해 물을 조금 주거나 가끔씩 주는 정도로도 잘 자란다고 하는데 다육이는 일반 식물과 구조가 좀 다른건가요? 생물학적으로 차이가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다육 식물은 건조한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적응한 식물로, 기본적으로 수분을 저장하고 관리하기 쉽도록 뿌리와 줄기, 잎 등이 특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러한 구조는 다육 식물이 수분을 흡수하고 저장할 수 있는 능력을 강화시켜 줍니다.

    또한, 다육 식물은 물을 많이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자주 물을 주지 않아도 잘 자랍니다. 일반적으로 다육 식물은 흙이 완전히 마르기 전에 물을 주는 것이 좋습니다. 뿌리가 물에 잠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물을 주는 양도 적게 주는 것이 좋습니다.


  • 다육식물은 물이 부족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적응한 식물입니다. 다육식물은 뿌리가 깊게 내려가지 않고 얕은 곳에서 뿌리가 생기기 때문에 물을 적게 받아도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육식물은 물을 저장하는 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한 번 충분한 양의 물을 주면 그것으로 오랫동안 생존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다육식물은 햇빛을 좋아하지만 직접적인 햇빛보다는 적당한 양의 간접적인 햇빛을 선호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 보호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다육식물은 생물학적으로 다른 일반적인 식물과 구조적으로 차이가 있지만, 이러한 특성들로 인해 물과 햇빛에 대한 요구가 적어도 일반적인 식물에 비해 더 잘 적응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다육식물은 물을 자주 주지 않아도 되는 이유는 다육식물은 물을 저장할 수 있는 잎이 있기 때문입니다. 다육식물의 뿌리는 흙에서 물을 흡수하고, 잎에 저장합니다. 그래서 다육식물은 뿌리가 마르기 전까지 물을 주지 않아도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