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혼자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게발하는 게 가능한가요?
가끔 유튜브에서 논문 600편을 읽고 번역기 돌려가며 아들을 살리기 위해 치료제를 개발했다는 얘기가 있는데
고졸 학력으로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하는 게 가능한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사실상 불가능합니다.
먼저 치료제 개발은 화학, 약학, 의학 등 최고 수준의 전문 지식을 필요로 한데, 고졸 학력으로 논문 수백 편을 읽는 노력만으로는 새로운 치료 원리를 설계하기 어렵습니다.
물론 이 노력이 새로운 치료원리를 설계했다고 할지라도 신약 개발에는 적게는 수천억원 이상의 막대한 자본과 실험실이나 장비 같은 최첨단 연구 시설이 필수적입니다. 개인이 집에서 이러한 인프라를 갖추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만일 이런 인프라를 가진 초거대 갑부라고 할지라도 개발된 물질은 전임상(동물) 및 임상(인간) 시험 3단계를 거쳐야 하는데 이 과정의 정부 승인은 물론 시간만으로 수년에서 수십년이 걸립니다.
결국 유튜브에서는 이런 현실적 부분은 무시한체 극적인 성공 스토리를 만들려 한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현실적으로 현재 알츠하이머 치료제는 세계 유수의 연구기관과 제약사도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어려운 난제입니다. 결론적으로 고졸 학력의 개인이 혼자서 신약을 개발하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습니다.
2명 평가알츠하이머병 치료제 개발은 전문 연구기관이나 제약회사가 막대한 자본과 시간, 인력을 투입함에도 불구하고 성공하기 매우 어려운 분야입니다. 알츠하이머 치료제 후보 물질 244개 중 FDA 승인을 받은 것은 단 1건에 불과하며, 세계적인 제약사들도 임상 단계에서 실패를 겪는 경우가 많습니다. 알츠하이머병의 원인이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고 환자마다 임상 경과가 다른 점이 개발의 주된 난항 원인으로 꼽히며, 신약 개발에는 후보 물질 탐색부터 임상 시험, 허가까지 최소 수천억 원의 비용과 1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됩니다. 따라서, 개인의 노력만으로 치료제를 개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2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현실적으로 어려울것입니다.
알츠하이머 치료제의 개발은 분자설계나 약리학, 세포나 동물모델실험, 임상시험, 규제승인 등 고도의 전문지식과 고가의 장비, BSL2~3수준의 안전시설이 필요하기때문입니다.
논문을읽고 이론단위에서 연구하는것은 가능하지만, 각종실험은 불가능할것이라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