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총 3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현재 우세종은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된 후에 백신 접종처럼 항체가 형성됩니다. 백신 접종 후에 항체가는 대략 3개월에 최고치를 찍고 6개월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확진자도 이와 유사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러므로 수개월 동안은 같은 변이에는 재감염의 가능성은 낮습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변이의 경우 생성된 항체를 회피하여 재감염 시킬 수 있어 이론적으로 가능성은 있습니다. 하지만 감염되더라도 백신 접종자 및 이전 감염자는 생성된 면역력으로 인해 회복이 좀 더 빠르고 경증으로 지나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
코로나에 감염되어 나은 경우 면역을 획득하기 때문에 단기간 같은 종류(가령, 오미크론)로 재감염 확률은 거의 없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면역력이 떨어져서 재감염 될 가능성 있으며, 첫 감염보다는 많이 낮은 확률입니다.
다만, 재감염시 증상은 대개 첫 감염보다는 약하다고 알려져 있다고는 합니다.
참고로 현재 방역당국에서 정의하는 재감염은 최소 45~90일이 지나서 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재감염이 일어니는 시기는 딱히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특히 코로나 바이러스의 경우 다양한 변이형이 존재하기 때문에 다른 변이형에 노출이 된다면 며칠 이내로 재감염이 될 수도 있으며 이런경우 기존 증상과 비슷한 증상이 재발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코로나와 감기는 증상이 유사하기 때문에, 증상만으로 코로나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증상이 비슷하게 나타나더라도 감기일 수 있으므로,
자가검사키트나 신속항원검사를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음성으로 나왔다가 다시 양성으로 나올 경우 재확진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박지호 의사입니다.
완치 후 코로나 바이러스 체내 잔존 관련해서는 코로나 확진일로부터 45일 이전에는 양성이 나와도 재감염이 아닌, 기존 감염 바이러스가 체내에 남아 있는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당국에서는 증상 유무에 관계없이 최초 확진일이 90일 이후 PCR 검사 결과 양성 판정을 받은 사례와, 최초 확진일 이후에 45~89일 사이 PCR 검사 결과가 양성이면서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 노출력이 있는 경우에 대해 재감염 사례로 분류를 하고 있다고 합니다.
완치 후에 항체가 형성되기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는데, 이 때 코로나19에 노출되면 다시 감염될 수 있습니다. 같은 맥락으로 재감염의 가능성은 시간이 지날수록 올라갑니다. 초기에는 약 1% 정도 된다고 볼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나고 항체량이 줄어들게 될 경우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홍덕진 의사입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재감염이 가능합니다.
단, 한 번 특정한 변이종에 감염되면 해당 변이종에 대해서는 면역력을 갖기 때문에, 최소한 3개월 이내에는 ‘동일한’ 변이종에 한해서는 재감염 되지 않습니다.
단, 이 효과는 3-6개월로 제한되고 이 기간이 지나면 항체가 감소하면서 동일 변이종에 재감염이 가능합니다.
부스터 백신을 접종하는 이유가 바로 이렇게 줄어든 항체 농도를 높이기 위해서 입니다.
참고로, 다른 변이종에 대해서는 재감염이 얼마든지 가능합니다.
기존에 보유한 항체가 새로운 변이종에 대해서는 방어 효과가 없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코로나 바이러스 재감염은 흔하지는 않지만 가능합니다.
기존 감염 환자 안에서는 0.1% 정도 됩니다.
두번 세번 이상의 코로나 감염도 가능하고 실제 그런 사례는 있습니다.
그 이유는 세가지 입니다.
1) 코로나19에 감염되어 회복되면, 상당수는 항체를 형성합니다.
하지만, 일부는 항체를 생성하지 못 합니다. 이런 사람은 감염이 더 오래 지속되고, 잘 낫지 않습니다.
2) 항체가 생겼더라도, 이 항체가 평생 지속되지는 않습니다.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마다 차이가 있는데 대략 3개월-12개월 사이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3) 항체가 생기더라도, 변종에는 방어력을 갖고 있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며 처음 감염 이후 바로 다시 재감염될 수 있습니다. 다만 우리나라에서는 다시 감염이 되었는지, 재검출인지 판단 기준이 상당히 애매합니다. 즉 45일 이내에는 다시 양성이 뜨더라도 재검출로 판단하는 사례가 많기 때문에 실제로는 재감염이 되는 비율은 더 많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는 사람에 따라 다르며 개인이 가지고 있는 면역 그리고 감염 이후 항체 생성정도에 따라 다른 부분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오미크론 감염 이후에 다른 변이가 유행하게 된다면 다시 감염될 가능성이 있지만 격리 해제 후 바로 오미크론에 재감염이 되지는 않습니다. 오미크론 이후에 어떤 변이가 생기느냐에 따라 재감염은 달라질 수 있답니다. 오미크론 이전의 변이들은 전파력이 세지 않았고 대략 1~2% 정도의 재감염율을 보였습니다. 오미크론은 변이가 심하다 보니 이전 변이에 감염되고 오미크론에 재감염되는 사례가 10%까지 보고되었구요.
아직까지는 45일 경과한 이후에 확진자 접촉후 증상이 있고 pcr양성이면 재감염이라고 정의합니다. 물론 해외에서는 45일 이전에도 감염된 보고가 있기는 합니다.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