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14

우리나라 학생 교복 입는 문화는 언제 생긴건가요?

과거 처음 학교 생길떄 중고등학생 교복을 입지 않았을껀데 이 교복입는 문화는 언제 생긴건가요?

그리고 왜 중고등학생은 교복을 입어야 하는지 그이유를 알고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교복의 역사 역시 마찬가지로 최초의 서양식 학교가 설립된 개화기가 그 시작점입니다. 최초로 교복을 채용한 학교는 바로 이화학당입니다. 1886년, 4명의 학생으로 이화학당을 창설한 메리 스크랜턴 부인은 서양인인 자신을 두려워하는 소녀들에게 우선 맛있는 과자를 주어 안심시키고, 침모를 불러 서둘러 새 옷을 지어 입히게 했고 이 때 만들어진 붉은 무명천의 치마 저고리가 우리나라 최초의 교복이었던 것인데, 사람들은 이 교복을 입은 이화학당 소녀들을 '홍둥이'라 불렀다고 합니다. 그래서인지 이화학당의 교복은 곧 흰 저고리에 검정 치마로 바뀌었고 등하교시나 소풍 등의 행사에는 교복 위에 쓰개치마를 쓰고 다녔다고도 합니다.

    남학생의 교복이 조선에 등장한 것은 그보다 2년 후인 1898년이며 미국인 선교사 H.G.아펜젤러가 설립한 배재학당에서 당복(堂服)을 학생들에게 입힌 것이 그 시초이며 이 당복은 당시 일본의 학생복과 비슷한 형태였다고 합니다. 반면 수 년 후인 1904년 개교한 한성중학교는 조선식으로 검은 두루마기에 검은색 띠를 두른 복장을 교복으로 채택했다고 합니다. 하지만1982년 1월 2일을 기해 교복착용은 일제의 잔재라는 이유때문에 중-고등 학생들에 대한 조발 및 교복자율화 조치가 발효되었습니다.

    그러나 교복에 대한 학부모의 요구가 드높아지고 교육계에서도 그 필요성을 실감함에 따라, 1986년 2학기부터는 교복자유화 조치를 일부 보완해 학교장 재량에 따라 교복착용 여부 및 교복의 형태가 결정되도록 방향이 수정되었으며 그 이후로 대부분의 학교는 또 다시 각 학교 사정에 맞춘 교복을 제작해 입게 되었습니다.

    교복을 입는 이유는 교복은 일반적으로 학교에서 표준적인 옷차림이며, 학생들이 학교에서 질서와 통일감을 유지하고 친구들과 차별 없이 함께 학교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이와 더불어, 교복을 입는 것은 학교의 정체성과 학생의 명예와 존엄성을 지키기 위한 한 방법이기도 합니다. 교복은 학생들에게 여러 가지 장점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교복은 학생들이 차별받지 않고 동등하게 대우받을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교복을 입음으로써 학생들은 학교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으며, 학생들끼리도 서로를 인정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갖게 됩니다. 또한, 교복은 학생들의 안전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교복은 교외에서의 불법적인 활동을 막을 수 있으며, 학생들을 학교에서 일어나는 사고로부터 보호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교복은 학생들이 교육적인 목적을 이루는 데도 도움을 줍니다. 학교에서의 정돈된 분위기와 교복 착용으로 인해 학생들은 집중력을 높일 수 있고, 학교 생활에 대한 책임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교복 착용은 학생들의 대인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교복은 학생들의 행동, 태도 및 생활 방식에 영향을 미치는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 든든한소쩍새224
    든든한소쩍새22423.04.14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 교복의 역사는 1886년 이화학당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때 최초로 채택된 교복에는 속곳, 고쟁이, 버선까지도 포함되었고, 겉옷은 러시아산 무명으로 만든 다홍색 치마저고리였다. 3년 후인 1907년에는 숙명여학교에서 자주색 원피스와 분홍색 교모로 구성된 서양식 교복을 처음으로 입었다. 이후로 1919년까지 쭉 교복이 한복 차림이었다가 1920년에 모든 교복이 양복으로 바뀌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성균관의 청금복이 교복의 원조라 할수 있는데 청금복은 태종 11년 6월에 처음 제정되었는데 이때의 청금복은 청금난삼을 의미했습니다.

    교복은 학생의 신분을 나타내는 상징이며 경제적이고, 학생들 간 빈부격차가 덜 드러나는 장점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은경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학생의 교복 착용 시작은 1800년대 이화학당과 배재학당에서 한복이 교복으로 채택되어 속곳과 고쟁이, 버선, 겉옷은 러시아산 무명으로 만든 다홍색 치마저고리를 착용하였습니다.

    양장교복은 1907년 숙명여학교에서 자주색 서지원피스에 분홍색 안을 댄 보닛모자를 쓰고 구두를 신은 유럽식 스타일의 서양식 교복을 처음으로 입었으나 별로 호응을 얻지 못하고 3년 뒤 한복 교복으로 교체되었습니다. 남학생 교복은 1910년대 산업화 과정에서등장한 작업복과 비슷한 형태로 변화하여 착용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한국의 교복 역사는 여학생은 1886년 이화학당이 다홍색 무명천으로 된 치마저고리를, 남학생은 1898년 배재학당이 당복(堂服)을 입음으로써 시작되었다. 당복은 당시 일본의 학생복과 비슷한 형태였는데 소매끝, 바지의 솔기 부분과 모자에 청·홍선을 두른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