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잠식'은 어떤 상태인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오늘도 배웁니다.
‘자본잠식’이 어떤 상태를 의미하는지,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재무적으로 매우 부실한 상태를 의미하는데요 기업의 누적 손실이 자본금을 초과해 자본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태라고 이해하심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라는 것은 기업이 가진 자본이 점차 줄어들어 기업을 좀먹는 상태라고 보시면 됩니다. 수익이 나지 않고, 손해가 나서 기업이 가진 자본을 침해하는 상태를 보통 자본잠식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자본잠식의 결과로 주식은 상장폐지가 되거나, 그것이 아니라면, 기업은 그룹이 해체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항상 자본의 유동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 하다고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은 쉽게 말해 회사의 밑천이 갉아먹히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마치 누에가 뽕잎을 갉아먹듯이, 회사의 손실이 싸여서 처음 투자받았던 돈, 즉 자본금을 점점 줄여나가는 상황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회사의 재무상태표를 보면 크게 자산, 부채, 자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자본은 회사의 순수한 자기 돈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처음 주식을 발행해서 모은 돈과 그 이후에 벌어든인 이익이 쌓인 돈등이 자본에 속합니다. 그런데 회사가 영업활동이나 여러 가지 이유로 손실을 계속 보게 되면, 이 손실은 회사의 자본을 줄어들게 만듭니다. 마치 통장에서 돈이 계속 빠져나가는 것과 같습니다. 자본잠식이란, 이렇게 누적된 손실이 회사의 자본총계보다 커져서 자본총계가 자본금보다 작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즉, 회사가 처음 가지고 있던 밑천보다 잃은 돈이 더 많아진 상황인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 상태란 기업이 손실금이 자본금을 초과한 상태로 극심한 경영난을 겪고 있는 상태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 잠식 상태란 기업의 누적된 손실이 보유 하고 있는 자본금보다 많아진 상태를 말합니다.
즉 회사가 벌어 들이는 이익 보다 손실이 커져서 자기자본이 줄어들게 되고 심하면 자본금까지 잠식 되게 되는 상황까지 오는 것이죠.
이런 경우 재무 구조가 매우 불안정해지고 상장 되어 있을 경우 관리 종목 또는 상장 폐지 위기까지 처할 수 있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자본잠식은 기업의 자본 보다 손실이 커서 자본이 계속 줄어드는 상태를
말하는건데요. 만약 회사가 계속 손해를 봐서 누적 결손이 12억이라고 하면
자본금이 10억이라는 가정하에 -2억원이 된 상태를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역마진이 나면서 자본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는 상태가 아닌 오히려 자본금을 야금야금 까먹고 있는
단계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본금이 지속적으로 깎이는 상태입니다
즉 시간의 문제이지 시간이 결국 다 지나게 되면 기업이 날라가는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이란 기업의 재무 상태가 매우 악화된 상황을 의미합니다. 총 자산에서 총 부채를 뺀 금액이 0보다 작아진 경우 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의 경우는 자산에서 자본금보다 자본이 적은 경우입니다. 만약 자본이 0원고 부채만 존재하는 경우 완전자본잠식에 해당됩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의 재무제표에 대한 간략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주식회사가 처음 사업을 시작할 때 자본금을 불입하게 됩니다.
그럼 자산 항목에 현금이 꽂히고 해당 현금으로 사업에 필요한 자산이나 설비를 구매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본 항목에 해당 금액이 기재됩니다.
이후 매년 사업 실적에 따라 자본금을 변동합니다. 일반적으로 법인세와 배당금을 지급하고 남은 이익이 '이익잉여금(retained earning)'로 자본 항목에 추가 될 수 있고 손실을 보았다면 기존 자본금을 까먹게 됩니다.
여기서 자본잠식은 손실이 쌓여서 자본금을 초과한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회사는 크게 주주가 자본으로 전입한 자본금과 그동안 증자로 늘어난 자본 그리고 이익으로 벌어들인 이익잉여금이 있습니다
그리고 회사가 매년 적자로 결손금이 발생하고 잉여금이 플러스가 아닌 마이너스로 전환되는 상황이 부분자본잠식이며 주주와 증자로 늘어난 자본금도 까먹어 자본 총계가 모두 마이너스가 나는 상황이완전자본잠식입니다
결국이는 기업비즈니스가 적자가 커지거나 누적되면 발생되는 구조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자본잠식에 대한 내용입니다.
자본잠식이란 말 그대로 회사의 자본 총계가 자본금보다 작아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즉, 회사에서 발생한 적자들이 계속 쌓이고 쌓여서
결국 이익 잉여금이 바닥나고 납입자본금 마저 잠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자본잠식은 쉽게 말해서 회사가 돈 다 까먹은걸 말합니다.
적자가 이어져서, 회사 잉여이익 다 까먹고, 그 다음에 투자자들 한테 투자받은 원금도 다 까먹은 것입니다.
자본잠식은 기업의 적자가 누적되어 기업의 순자산이 음수로 전환되는 상황을 의미합니다. 부분 자본잠식은 누적 적자가 자본금 전체를 소진하지 않은 상태로 자본금이 일부만 손실된 상태를 의미하며 완전 자본잠식은 누적 적자가 자본금 전액을 초과하여 자본총계가 음수로 전환 된 상태를 의미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이 자본잠식에 빠졌다는 것은 순자산(자본)이 자본금보다 더 적은 상태를 의미하며, 기업의 재정 위기가 발생한 것으로 바라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