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대찬밀잠자리170
대찬밀잠자리17023.07.04

우리나라 금통위에서 금리인상 계획은 없나요?

최근에 우리나라 기준금리를 동결시켜서 미국 기준금리와 차이가 많이 나던데 미국에서 하반기에 2회정도 기준금리 올리면 거의 2%대로 차이날거 같습니다. 현재 금통위에선 금리인상계획이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말씀 대로 현재 한국의 기준 금리가 3.5%이고 미국의 기준 금리는 5.25%인데 벌써 금리 차이가 1.75%입니다. 미국이 기축통화인 달러 보유국이고 글로벌 자산 시을 리딩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큰 금리차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난 달 미연준의 FOMC 회의 때 금리 동결을 결정했는데 발표한 점도표와 인플레이션 상황을 봤을 때 향후 한 두 차례 소폭의 금리 인상이 예상됩니다. 반면, 한국은행의 경우 고민이 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새마을금고, 중소 건설사 등 PF와 개인부채 규모가 크고 금리 인상에 따른 리스크가 급증한 터라 쉽게 금리 인상을 결정하지는 못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제 개인적인 소견은 3.5% 금리를 올해 내내 유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한국은 금리인상은 아직 계획이 없고 물가안정 및 경기침체를 고려 인하시기를 검토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금리를 동결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 우리나라 물가상승률 수준과 환율에 따라 변동성은 내포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락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아직 없습니다. 우리나라는 개인대출이 많기 때문에 올리기 쉽지 않습니다. 물가가 현재 내려가고 있고, 환율이 급격하게 올라가지 않는이상 계속 동결 유지 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네 아직 금리 인상 계획은 없습니다. 한국의 경우 가계 부채가 많아서 더이상 인상하기엔 쉽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 조유성 AFPK입니다.

    ✅️ 한국 물가가 2.7% 수준으로 내려왔고, 이 상태에서 금리를 더 올리면 가계부채 등의 부담이 너무 커지게 되므로 금리 인상 계획이 뚜렷하게 존재한다 이렇게 보기 어렵고, 실제로 고위계층의 자산이 대부분 부동산이라서.. 외부적인 압박도 분명히 존재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최근 발표된 물가지수가 이미 2%대로 진입하였기 때문에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하지는 않을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직까지는 인상에 대한 계획은 없는것으로 보이나

    미국의 금리를 따라가기 위해서는 조만간

    어느정도 상향조치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을 조금 더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금리가 더 올라간다면

    경기갸 침체되고 부동산 시장이 상당히 얼어붙을 수 있는 등 하여

    신중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올해 한국은행 총재는 인상 1번정도 할수 있다고 기자회견에서 말한바 있습니다 현재기준금리 3.50 에서 0.25 인상한 3.75 를 최종금리라 말할수 있다하였고 국내 채권 애널리스트들은 내년 2분기부터 인하를 시작할거란 예상이 지배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