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수입을 할때 은행에서 만드는 신용장은 어떤 기준으로 얼마까지 한도를 만들수가 있나요?

수입을 하는 무역업체들은 달러를 보내고 물건을 받는 경우도 있지만,

은행에서 먼저 신용장을 만들어서 수입을 하고 나중에 결제하는 상품이 있다고 하는데

이 신용장은 어떤 상품이고 어떤 업체에게 얼마까지 한도를 주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장은 물건을 수입할 때 지급하지 못할 경우 은행이 대신 수출자에게 대금을 지급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일정기간 시점을 두고 결제하는 유산스 방식과 물건이 들어오는 동시에 즉시 결제하는 일람불 방식이 있습니다.

    대출 한도는 일반 대출과 똑같이 산정하게 됩니다. 회사의 담보여부 신용등급 여부 수입물량 여부에 따라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입 시 사용하는 신용장(l/c, lETTER OF cREDIT)은 은행이 수입자의 신용을 대신 보증해주는 방식으로, 물건을 먼저 받고 대금을 나중에 지급할 수 있도록 돕는 결제 수단입니다. 수출자는 은행이 지급을 약속하므로 거래에 대한 신뢰가 높아지고, 수입자는 실제 물건이 선적된 후에만 대금이 지급되도록 조건을 걸 수 있어 안전한 방식입니다.

    신용장 한도는 무역업체의 재무 상태, 거래 실적, 담보 제공 여부 등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일반적으로 신용평가와 함께 은행의 여신 심사를 거쳐 산정됩니다. 신규 업체라도 일정 수준의 자본금, 납세 실적, 사업계획이 명확하면 일부 한도를 받을 수 있지만, 대부분 일정 담보나 보증보험을 요구받기도 합니다. 한도는 수천만 원에서 수십억 원까지 기업 규모와 신용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입을 하는 무역업체들이 사용하는 산용장이 있습니다.

    이는 수출 실적이 있거나 수출 증빙자료를 가지고 있는 수출업체가 수출 물품을 만드는데 필요한 원자재 등을 원활하게 조달하도록 지원하는 것입니다.

    내국신용장이라고 하며 구매업체의 신청에 따라 국내 공급업체를 수익자로 발행하며 은행이 지급 확약하는 서류입니다.

    보통은 은행의 최근 3개월 간 외화대출 평균 잔액 범위내에서 최대 20억원까지 가능하고 개별 업체의 경우 5천만 달러로 가능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수입을 하는 무역업체들이 은행에서 신용장을 먼저 만들어서 수입을 하고 나중에 결제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이 신용장은 '수입 신용장' 이라고 불립니다. 수입 신용장은 수입업자의 거래 은행이 수출업자의 거래 은행 앞으로 발행하는 조건부지급 확약서입니다. 즉, 수입업자가 수입 계약 조건에 맞는 선적 서류를 제시하면 은행이 대금을 지급하겠다는 약속입니다. 수입 신용장 한도는 위에서 언급된 다양한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은행이 개별 수입업체별로 결정하기 때문에 정해진 금액은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은행은 수입업체의 실제 수입 규모, 재정 능력, 신용도, 담보 제공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적절한 한도를 설정합니다.따라서 수입 규모가 크고 신용도가 우수하며 충분한 담보를 제공할 수 있다면 더 높은 한도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신용장의 한도는 결국 거래하는 수입업체의 신용도에 따른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거래규모 등에 따라 신용장의 한도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평소에 많은 거래를하던 기업이면 신용장의 한도가 높지만, 최근에 거래를 시작한 기업이면 이러한 신용장의 한도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밖에 없습니다. 그 이유는 그 기업에 대한 믿음 등이 아직 확고하지 않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거래실적에 따라 이러한 신용장은 증가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신용장에 쓸 수 있는 품목, 재화는 너무나 광범위한데요. 기업별로 신용장(L/C) 개설 시 은행과 약정을 해야하기에, 기업의 신용상태(재무상황 등)에 따라서 받을 수 있는 한도가 다르고 그 규모도 천차만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