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건강상담
탕수육특공대
탕수육특공대24.02.07

이석증 어떻게 예방하나요? 자주 재발합니다

나이
27
성별
남성

중3 때 첫 발병 후 몸이 피로하기만 하면 이석증이 자꾸 재발해 너무 힘이 듭니다. 다른 사람은 피곤해도 이석증 안 걸리는데 저는 왜이리 자주 재발할까요..? 무슨 영양소가 부족해서 그런가요? ㅠ 어떻게하면 예방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이석증은 보통 수주 이내에 호전되는 경우가 많아서 별도의 치료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후유증이 남는 경우도 드물며, 빠른 진단과 적절한 치료로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이석증의 주요 치료법 중 하나로는 이석 치환술이 있습니다. 이는 고개의 위치를 변경하여 반고리관에 들어간 이석을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치료법으로, 이석증의 증상을 유발하는 반고리관의 위치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따라서 이비인후과 의료진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어지러움이 지속될 경우 다른 심각한 질병으로 인한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하므로 진찰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물은 일반적으로 이석증의 근본적인 치료 방법이 아니지만, 증상이 심한 경우에는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보조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석증을 진단할 때는 다른 어지럼을 일으키는 질환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어지럼이 계속되거나 심한 신경 마비 증상이 나타나면 뇌졸중이나 뇌출혈과 같은 심각한 뇌 질환을 의심해야 합니다. 또한 전정신경염, 메니에르병, 만성 중이염 합병증과 같은 다른 이비인후과 질환의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합니다. 재발한 경우에는 물리 치료를 시행하여 일반적으로 잘 치료될 수 있습니다. 다만 이석증 치료 후 재발한 어지러움이 반드시 이석증인 것은 아니므로 다른 어지럼의 원인도 고려되어야 합니다.

    이석증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는 방법은 어렵다고 볼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