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장 주식의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최근 공모주가 인기를 끌면서 비상장 주식을 구매하는 지인들이 많이 늘었습니다.
근데 비상작주식 자체가 아직은 생소해서 비상장 주식의 양도소득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비상장 주식의 양도소득세에 대한 내용입니다.
비상장 주식을 거래해서 생기는 소득에 대해선 대주주, 소주주 가릴 것 없이 양도소득세를 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양도차익에서 양도소득기본종게를 빼면 과세표준이 나오고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시면 됩니다.
비상장 주식의 양도소득세는 주식 매도 가격에서 매입 가격과 거래 비용을 뺀 차액인 양도소득에 대해 부과됩니다.
양도소득세는 비상장 주식의 경우 기본세율 20%와 함께, 2,500만 원을 초과하는 소득에 대해 추가로 2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세금 신고와 납부는 매년 5월 1일부터 5월 31일 사이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통해 진행하며, 정확한 매입가액과 거래 비용을 확인하고, 필요 시 세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매매차익이 발생하면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는 구조입니다. 단순히 거래를 목적이 아닌 지분투자나 기업간의 인수합병에서 액면가액으로 매매하면 매매차익이 발생하지 않아서 소득세가 부과되지는 않지만 만약 액면가액이상인 비상장주식 플랫폼등에서 형성된 시가대로 매입을 해서 매도 즉 양도를 하여 매매차익이 발생하면 양도소득세를 납부하여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매매차익의 250만원까지는 비과세가 되며 그 초과분은 양도소득세로 납부해야 하며 증권거래세도 납부하여야 합니다.
상반기 1월1일부터 ~ 6월30일까지는 해당해의 8월 31일까지 신고를 납부하여야 하며 하반기 7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는 다음해 2월 28일이나 29일까지 신고납부를 하여야합니다.
세율기준은 대주주의 경우 양도차익이 3억 원 이하일 때는 20%의 세율이 적용되며, 3억 원을 초과할 경우에는 25%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대주주가 아닌 경우에는 중소기업 주식을 양도할 때 10%의 세율이, 비중소기업 주식을 양도할 때는 20%의 세율이 적용됩니다.
증권거래세는 매매대금의 0.35%를 부과하며 해당 세금도 양도소득세와 같이 상반기 1월1일부터 ~ 6월30일까지는 해당해의 8월 31일까지 신고를 납부하여야 하며 하반기 7월1일부터 ~12월 31일까지는 다음해 2월 28일이나 29일까지 신고납부를 하여야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상장 주식의 양도소득세는 상장 주식과 달리 복잡하게 계산됩니다. 양도가액에서 취득가액을 뺀 양도차익에서 250만 원의 기본공제를 한 후, 과세표준에 해당하는 세율을 적용해 세액을 산출합니다. 비상장 주식은 시장에서 거래되지 않기 때문에 가치 평가가 어려워 전문가의 평가나 유사 기업의 주가를 참고해야 합니다.
특히, 여러 차례 매입한 주식은 선입선출법으로 취득가액을 계산하며, 취득가액을 증명하기 위해 관련 증빙자료를 보관해야 합니다. 비상장 주식의 세금 계산은 상장 주식보다 복잡하기 때문에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비상장 주식을 매도한 후 양도소득세는 양도일이 속하는 반기의 말일부터 2개월 이내에 신고하고 납부해야 합니다. 세법은 자주 변경되므로 최신 정보를 확인하고 정확한 절차를 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상장 주식의 양도소득세 계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양도소득세 = (양도가액 − 취득가액 − 필요경비) × 세율
양도가격에 취득가액을 뺀것이 양도 차익입니다.
필요경비는 주식 거래와 관련된 비용 (예: 증권거래세, 중개수수료 등)을 말합니다.
비상장 주식의 양도소득세율은 보통 10%입니다.
단, 대주주에 해당하는 경우 20% 또는 25%로 높아질 수 있으며, 대주주의 범위는 보유 지분율 및 보유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추가로 지방소득세가 10% 부과됩니다.
안녕하세요.
일반 비상장주식 양도소득세 경우 대주주일 때는 양도차익이 3억원 이하면 20%, 3억 초과일 경우 25%의 세율이 적용 됩니다.
비대주주의 경우 중소기업 주식 양도시 10%, 그 외 주식은 20%의 세율이 적용 됩니다.
그리고 특정 주식이나 대량의 부동산을 보유한 법인 주식 양도에는 6^에서 42% 사이의 세율이 적용되며, 이는 직접적인 주식 또는 부동산 양도와 유사한 세율 구조를 갖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비상장 주식의 양도소득세는 주식을 사고 팔아서 생긴 이익에 대해 내는 세금입니다. 세금을 계산할 때는 주식을 팔아서 번 돈에서 처음 산 가격과 거래 비용을 뺀 나머지 이익에 세율을 곱합니다. 세율은 일반적으로 10%~ 20% 정도로, 정확한 비율은 주식의 종류나 보유 기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세금은 주식을 판 다음에 꼭 신고하고 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