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가브리살제수스
가브리살제수스23.04.04

공공장소에서 뛰는아이 어떻하죠?

안녕하세요


엄마가 하지 말라고 여러 번 이야기하는데도 공공장소에서 시끄럽게 하며 뛰어다닌다면 훈육을 해야 하나요?

아이의 기분을 망칠 수 있으니 참는 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송신애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공공장소에서 뛰어다닌다면 반드시 제지하셔야합니다.그렇지 않으면 아이는 당연하게 여기고 습관이 될 수 있습니다.뛰어다니는 아이의 팔을 굳게 잡으시고 조용한 곳으로 데리고 가서 여기는 공공장소이기때문에 뛰면 위험하다고 알려줍니다.다음에 놀이터에 가서 신나게 놀자고 이야기 해 주세요.아이를 제지하지 않으면 주위사람을 불편하게 할 수도 있으니 용무가 끝났으면 공공장소를 빨리 벗어나는것도 한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공장소에서는 뛰지 않아야한다는 것을 단호하게 알려주셔야 합니다. 아이 기분을 망칠까봐 기본적인 예절교육을 하지 않으시면 아이는 자제력과 조절력을 발달시키지 못하고 크게 됩니다.

    따라서 아이를 세우고 다소 단호하게 말씀하시고 만약 아이가 조절이 어렵다면 그 장소에서 벗어나 뛸 수 있는 곳으로 장소를 이동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04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평소에 아이와 함께 공공장소에서는 걸어다니는 것을 약속으로 삼고 반복해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뛰면 단호하게 아이에게 잘못된

    행동임을 말하고 혼내셔야 해요

    아이가 뛸 때마다 간식을 제한하거나

    놀이를 제한하거나 해보세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공장소에서 뛰어다닌다면 그 즉시 아이의 손을 잡고 아무도 보이지 않는 곳으로 가서 아이의 눈을 마주보고 “식당에서 뛰었다는 것은 아니야, 도서관에서는 뛰는 것이 아니야” 라고 단호하게 말하여주면서 눈빛으로 말하여 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외출 하기는 아이에게 미리 얘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오늘도 공공장소에서 뛰어다닌다면 엄마는 너에게 주의를 줄 것이고 그래도 안 지키면 바로 집으로 갈거야 라고 이렇게 말하여 주도록 하세요. 그리고 목적지에 도착하면 들어가기 직전에 다시 한 번 아이의 다짐을 받도록 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참으시면 안됩니다.

    공공장소에서 뛰는 것은 아이가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임을 명확하게 인지하여 주시고

    아이가 그래도 뛴다면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제한함으로써

    고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공공장소에서 뛰게 되면, 다른 사람들에게 민폐가 되므로 뛰지 못하게 훈육을 해야 합니다.

    미리 밖에 나가기 전에 공공장소에서 지켜야 할 약속들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또한 공공장소에 관련된 동화책을 자주 읽어 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어딘가 갈때에는 사전에 정보를 아이에게 제공해주세요

    뛰거나 소리지르지 않기 물건을 함부러 만지지 않기 등 미리 주의사항을 이야기 해주시고 어길 시에는 혼내거나 화내지 마시고 장소를 이탈하여 말없이 지켜보세요

    아이가 잘못을 인지하거나 상황에 대해 궁금해하면 다시 주의사항을 숙지시켜주세요

    약속과 규칙을 지키는 것에 대한 보상을 미리 마련하는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우선적으로 안되는것을 이야기해주고

    아이가 계속 뛰고 장난을 친다면

    아이에게 여기에더 있을수없다는것을 알려주는것이 좋으며

    행동이 지속되면 장소를 떠나고 집으로가시는것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행동을 장기적으로 바꾸기 위해서는 아이도 부모도 좀더 차분해져서 감정을 조절하고 논리적으로 생각을 할 수 있는 상태에서 찬찬히 설명하면서 타이르는 것이 더 낫습니다. 그리고 아이의 행동을 지속적으로 관찰하면서 바람직한 행동을 하거나 잘못된 행동을 줄여가려고 노력하는 것에 대해서 칭찬해주고 격려해주는 행동수정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공공장소에서 뛰는 상황에서 지속적으로 훈육을 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권미정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공공장소에서 뛰어다니는 아이는 주변 사람들에게 거슬리거나 위험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훈육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훈육의 방법은 아이의 개성과 성격에 따라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 말로 설득하거나 재미있는 게임을 통해 뛰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물리적인 벌칙이나 폭력은 아이의 심리적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아이의 행동을 관찰하고 그에 맞는 훈육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수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을 하셔야지요. 아이들도 그런 과정을 통해서 공공장소의 예절을 배우니까요. 아이의 기분만을 위해서 공공장소에서의 예절을 훈육을 하지 않는 것은 좋지 않아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