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칠공주파리더
칠공주파리더

도마뱀은 왜 죽은 귀뚜라미를 먹지 않나요?

애완용 파충류가 귀뚜라미를 주식으로 한다고 알려져 있어요. 그런데 뉴스에서 말하길 도마뱀은 죽은 귀뚜라미를 먹지 않기에 귀뚜라미를 별도로 사육도 한다고 하는데 그게 귀뚜라미가 죽은 지 오래 된 것은 귀뚜라미가 많이 변해서 상했을 수 있으니 그렇다 해도 갓 죽은(도마뱀 주인이 죽여준) 귀뚜라미도 왜 먹지 않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도마뱀이 죽은 귀뚜라미를 섭취하지 않는 현상은 주로 그들의 진화적 본능 및 생태학적 적응에 기인합니다. 도마뱀을 포함한 대부분의 파충류는 활동적인 먹이에 반응하며 사냥하는 본능적 행동을 보입니다. 이러한 행동 패턴은 생존에 필수적인, 선택적 먹이 섭취 행동(evolutionarily adaptive foraging behavior)의 일환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죽은 먹이는 움직임이 없기 때문에 이들의 사냥 본능을 자극하지 않으며, 따라서 먹이로서의 가치를 인식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 도마뱀은 살아있는 먹이를 쫓고 사냥하는 본능이 강합니다. 움직이는 먹이는 신선하고 영양가가 높다는 신호이므로, 죽은 먹이보다 더욱 관심을 가지는 것입니다.

    또 죽은 먹이는 부패될 가능성이 높아 유해한 세균이나 기생충에 감염되었을 위험이 있습니다. 도마뱀은 이러한 위험을 감지하고 피하려는 본능적인 회피 행동을 보입니다.

    죽은 곤충은 시간이 지날수록 썩는 냄새가 나기 시작합니다. 도마뱀은 예민한 후각을 통해 이러한 냄새 변화를 감지하고 먹이로서의 가치가 떨어졌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또한 죽은 곤충은 살아있는 곤충과 비교하여 맛이 변하고, 도마뱀의 미각 수용체가 이를 감지하여 섭취를 꺼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도마뱀은 사냥하는 과정 자체를 즐기는 본능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움직이는 먹이를 추적하고 잡는 행위는 도마뱀에게 재미있는 활동이며, 이러한 본능이 죽은 먹이에 대한 흥미를 떨어뜨릴 수 있는 것입니다.

  • 도마뱀이 죽은 귀뚜라미를 먹지 않는 이유는 본능적으로 움직이는 먹잇감을 사냥하도록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도마뱀은 시각에 크게 의존하여 먹이를 찾고, 움직임에 반응해 사냥을 시작합니다. 죽은 귀뚜라미는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도마뱀의 사냥 본능을 자극하지 못해 먹지 않는 것입니다. 또한, 살아있는 먹이는 신선한 영양소를 제공하지만, 죽은 먹이는 빠르게 부패할 수 있어 도마뱀이 이를 피하는 행동을 보이는 것이기도 합니다. 따라서 건강을 위해 살아 있는 귀뚜라미를 사육하여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살아있는 먹이는 더 신선하고 영양이 풍부하다고 인식합니다. 죽은 먹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성이 떨어지고, 영양소가 손실될 수 있습니다.

    도마뱀은 자연에서 사냥을 통해 먹이를 얻어야 합니다. 살아있는 먹이를 잡는 것이 자연스러운 행동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살아있는 먹이는 도마뱀에게 더 많은 자극을 주며, 사냥하는 과정에서 운동량도 증가합니다. 갓 죽은 귀뚜라미는 도마뱀에게는 여전히 '죽은' 상태로 인식되기 때문에, 본능적으로 먹지 않게 됩니다. 또한, 도마뱀은 먹이의 신선함과 움직임을 통해 건강한 먹이를 인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도마뱀은 죽은 귀뚜라미를 선호하지 않습니다. 단, 죽은 귀뚜라미라도 핀셋으로 잡고 움직임을 주면 먹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