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생각하며돌아가는무언가

면역체계의 조절 장애가 자가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메커니즘이 궁금해요.

이 메커니즘은 매우 복잡하며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여한다고 배웠습니다. 기억 나는 게 면역 관용의 실패와 조절 T세포의 기능 저하가 있는데요. 이 외에도 적용 되는 메커니즘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면역체계의 조절 장애는 자가면역 질환 발생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말씀대로 매우 복잡하고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작용하며 발생하게 됩니다. 물론 면역 관용의 실패와 조절 T세포 기능 저하 외에도 다양한 메커니즘이 존재합니다.

    • 면역 관용의 실패

      중앙 관용 : 흉선에서 자기 항원에 반응하는 T세포가 제거되는 과정의 실패.

      말초 관용 : 말초 조직에서 자기 항원 특이적인 림프구가 무력화되는 과정의 실패.

    • 조절 T세포 기능 저하 : 조절 T세포의 수 감소 또는 기능 부전, 자가반응성 T세포를 억제하는 능력 감소.

    • B세포 활성화의 이상 : 자가항체 생성 증가, 자가반응성 B세포에 대한 조절 실패.

    • 항원 제시 세포의 변화 : 자기 항원을 비정상적으로 제시하여 면역 반응 유발, 공동자극 분자 발현 증가로 T세포 활성화 촉진.

    • 사이토카인 불균형 : 염증성 사이토카인 증가 (TNF-α, IL-1, IL-6 등),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감소 (IL-10, TGF-β 등)

    • 유전적 소인 : 특정 유전자 변이가 자가면역 질환 발병 위험 증가, HLA 유전자 다형성과의 연관성.

    • 환경적 요인 : 감염, 스트레스, 흡연, 특정 약물 등, 미생물총 불균형.

    • 분자 모방 : 외부 항원이 자기 항원과 유사하여 교차 반응 유발.

    • 세포 사멸 과정의 이상 : 세포 사멸 시 방출되는 자기 항원에 대한 면역 반응 유발.

    위에 언급된 메커니즘들은 단독으로 작용하기보다는 서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자가면역 질환을 유발합니다. 예를 들어, 유전적 소인을 가진 개인이 특정 감염에 노출될 경우, 면역 관용이 깨지고 조절 T세포 기능이 저하되어 자가면역 질환이 발병할 수 있는 것이죠.

  • 자가면역 반응은 면역 관용의 실패, 조절 T세포의 기능 저하 외에도 항원 모방, 체내 환경 변화, 선천면역의 과활성화 등이 관여합니다. 항원 모방은 외부 병원체의 항원이 자가항원과 유사해 면역체계가 자가조직을 공격하게 만듭니다. 또한, 감염이나 염증으로 인해 조직 손상이 발생하면 면역세포가 평소 노출되지 않던 자가항원을 인식하여 자가면역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