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래된 시신의 신원파악은 어떻게 하나요?
시신 중에서는 오래 전에 사망하여 겉으로 볼 때는 알아보기가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도 신원파악을 하던데 어떤 방식으로 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오래된 시신의 경우 겉모습으로는 알아보기 힘든 경우가 많기 때문에, 법의학, 법치의학, 유전학, 생물인류학 등의 다양한 학문 분야가 협력을 하는데요, 유전정보를 비교하는 DNA 분석이 가장 신뢰성이 높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시신에서 채취한 뼈, 치아, 모발 등에서 DNA를 추출하는데요, 가족이나 친족의 DNA와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하며, 주로 STR(Short Tandem Repeat) 분석이 사용됩니다. 또한 오래된 시신의 경우 DNA가 많이 손상되어 있지만, 골수나 치아 속은 오랜 기간 DNA가 보존될 수 있어 중요합니다. 신체 외부 단서도 매우 중요한 정보라고 할 수 있겠는데요, 시신과 함께 발견된 신분증, 옷, 악세사리, 문신, 수술 자국, 보형물 등은 생전 신원 확인의 단서가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오래된 시신은 dna 분석, 치아 기록, 골격 특징, 유전자 비교로 신원 파악해
가족 dna 대조가 가장정확해요
신원 확인이 어려운 시신은 주로 유전자 분석이나 치아 감식, 뼈 감식 등의 방법을 통해 신원을 파악합니다.
특히 유전자 분석은 가장 정확하고 널리 사용되는 방법입니다. 시신에서 채취한 뼈나 치아, 근육 조직 등의 샘플에서 DNA를 추출하고, 이 DNA를 실종자 가족의 DNA와 비교하거나, 기존에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DNA 정보와 대조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DNA는 부패에 강하여 오랜 시간이 지난 시신에서도 높은 성공률로 추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아는 썩지 않고 오래 남기 때문에, 생전 치과 기록과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할 수 있고, 뼈를 분석해서 성별, 나이, 키 등을 추정하고, 수술 흔적 같은 특이점을 찾아서 신원을 확인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오래된 시신의 신원 파악은 주로 치아 기록, DNA 분석, 골격 감정, 법의학적 복원, 유류품 분석 등을 통해 이루어지며, 치아는 부패에 강해 치과 기록과 대조하고, 뼈를 통해 나이와 성별을 추정합니다. 뼈나 치아에서 DNA를 추출해 가족과 비교해 신원을 확인하고, 외형이 남아있을 경우 얼굴을 복원하거나 발견된 소지품과 의료기록 등을 함께 활용해 신원을 찾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1) 개인소지품
2) 치아(치과 기록) 분석
일플란트, 치아 배열, 충치 등
치아는 부패에 강하고 오래 보존되기 때문입니다.
3) 마지막으로 DNA 입니다.
현대 기술로 미세한 DNA 분석이 가능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래된 시신의 신원 파악은 여러 과학적인 방법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주요 방법으로는 DNA 감식, 치아 감식, 그리고 지문 감식이 있습니다. DNA는 부패가 심한 시신의 뼈나 조직에서도 추출하여 유가족의 DNA와 대조하여 신원을 확인할 수 있으며, 미토콘드리아 DNA 감식은 핵 DNA가 손상된 경우에도 사용됩니다. 치아 감식은 사망 전 치과 기록과 시신의 치아 상태를 비교하여 신원을 확인하는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지문은 시신이 심하게 훼손되지 않았다면 채취하여 신원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또한, 유류품, 신체 특징(문신, 흉터 등), 신체 계측 정보 등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신원 확인을 진행합니다.
안녕하세요. 오현수 전문가입니다.
지문이 남아있다면 지문으로 평가할수도 있고요.
머리카락이나, 골수등에서 세포를 채취하고 유전자를 분리하여 DNA 서열 분석을 통해 가족간의 유전정보와 비교하여, 친자확인 방식처럼 하기도 하지요.
답변이 도움되었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