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의 크기는 어느정도나 되는건가요?
보통 눈에 보이지 않는것들은 크기를 갸늠 할수 없을때가 많은데요.
미생물 같은 경우는 크기가 어느정도나 되는지 미생물에도 크기의 차이가 있는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미생물의 어원을 보시면 정말 작은 생물이랍니다.
그런데 이것에 대한 기준은 따로 없고 현미경으로 보실수 있는 생물을 대부분 미생물이라고 하긴해요
미생물은 육안으로는 볼 수 없는 0.1mm 이하의 작은 생물을 통칭하며, 종류에 따라 크기가 매우 다양합니다. 가장 작은 미생물인 바이러스는 약 20~250 나노미터(nm) 정도이며, 박테리아는 약 0.2~1 마이크로미터(μm) 수준이고, 곰팡이나 효모 같은 진균류는 약 5~10 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를 가집니다. 일부 예외적으로 아메바와 같은 원생동물 중에는 0.5mm 이상으로 커서 육안으로도 관찰 가능한 미생물도 있습니다.
먼저 미생물이란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아주 작은 생물들을 통칭하는 말입니다.
따라서 크기가 매우 다양하며, 종류에 따라 엄청난 차이를 보이기도 합니다. 일반적으로 0.1mm 이하의 크기를 미생물이라고 부르지만, 그 범위 안에서도 엄청난 스펙트럼이 존재하죠.
먼저 바이러스는 미생물 중 가장 작습니다. 물론 바이러스는 미생물이 아니라는 의견도 있긴 합니다. 바이러스는 일반적으로 20nm ~ 300nm정도입니다. 이 크기라면 광학 현미경으로는 볼 수 없고 전자 현미경으로만 관찰 가능합니다. 최근 널리 유행했던 코로나19 바이러스는 80~100nm 정도입니다.
그리고 세균은 바이러스 다음으로 작은 단세포 생물입니다. 일반적으로 0.2um ~ 5um정도입니다. 일부 세균은 0.1um에서 80um까지도 다양합니다. 구균, 간균, 나선균 등 다양한 모양을 가지며 광학 현미경으로 관찰 가능합니다.
진균은 세균보다 크기가 큰 편입니다. 곰팡이는 균사 형태로 자라며, 균사 굵기는 5um ~ 10um 정도이며, 곰팡이 포자는 2um 정도로 매우 작습니다. 또 효모는 주로 단세포 형태로 5um ~ 7um 정도의 크기를 가집니다. 진균류는 인간 세포와 세균의 중간 정도 크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원생생물은 미생물 중 비교적 큰 편에 속합니다. 종류에 따라 크기 차이가 매우 크지만, 일반적으로 10um ~ 100um 정도입니다. 일부는 육안으로도 겨우 보일 정도로 큰 종류도 있으며 짚신벌레, 아메바 등이 여기에 속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미생물의 크기는 보통 0.2에서 10마이크로미터정도의 크기를 갖고있고,
바이러스는 0.02마이크로미터 정도의 크기를 갖고있습니다.
그래서 종류에따가 미생물이라고해도 수십배, 수백배이상 차이가 날 수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