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심심한스라소니6
심심한스라소니6

간단한 회로 질문! 제발요..(BJT)

1. 이거 왜 Vin=Vbe1+Vbe2 인가요?

2. KCL 사용해서

Vin=Vcc-Ic*Rc~ 이렇게는 안되나요?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1. Vin = Vbe1 + Vbe2 이유

    제공된 회로는 연결된 두 개의 BJT(Q1, Q2)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연결의 특징은 입력 임피던스가 매우 높고, 전류 증폭률이 두 트랜지스터의 곱으로 매우 크다는 것입니다.

    이 회로에서 Vin은 Q1의 베이스-이미터 전압(Vbe1)과 Q2의 베이스-이미터 전압(Vbe2)의 합과 같습니다.

    Q1의 베이스 전류는 Q2의 컬렉터 전류와 거의 같습니다.

    Q2의 베이스 전류는 Q1의 컬렉터 전류와 거의 같습니다.

    두 트랜지스터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Vin은 두 트랜지스터의 Vbe 값을 합한 값이 됩니다. 즉, Vin = Vbe1 + Vbe2 입니다.

    2. KCL을 사용한 Vin = Vcc - Ic * Rc

    KCL을 사용하여 Vin을 구하는 식은 Vin = Vcc - Ic * Rc 가 맞습니다.

    하지만 이 식은 Q1의 베이스 전류를 무시할 때 성립합니다.

    Q1의 베이스 전류는 매우 작기 때문에, 대부분의 경우 무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KCL을 사용하여 Vin을 계산할 때 Vin = Vcc - Ic * Rc 라는 식을 사용해도 큰 오차는 없습니다.

    하지만, 더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Q1의 베이스 전류를 고려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1. Vin = Vbe1 Vbe2는 두 개의 BJT가 직렬로 연결되어 있을 때 발생합니다. 각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 전압(Vbe)을 더한 값이 입력 전압이 됩니다. Q1의 베이스 전류와 Q2의 컬렉터 전류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식이 성립합니다.

    2. KCL을 사용한 Vin = Vcc - Ic * Rc는 Q1의 베이스 전류를 무시한 근사 식입니다. Q1의 베이스 전류는 매우 작아서 대부분의 경우 무시해도 큰 오차는 없지만, 더 정확한 계산을 위해서는 이를 고려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