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동향

개운한물수리3
개운한물수리3

대표적인 국제 금융거래의 통화국나 국제결제 통화국인 미국의 강달러 정책의 목적은 무엇입니까?

미국은 대표적인 기축통화국으로

달러로 거래하고 결제하는 국가로

강달러 정책을 최대한 발휘하여 달러가치를 상승시키는 작용으로 유도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입니까?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은 인플레이션을 전세계에 수출함으로서, 미국의 부채 규모를 상대적으로 줄이고자 하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이 발생하는 경우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기존의 부채들의 가치가 하락하게 됩니다.

    물가가 상승하면 상대적으로 기존의 금액의 가치가 낮아지는 것이지요.

    미국은 현재 세계 최대 채무국입니다. 부채만 31조 달러 수준으로 이자를 1%를 내는 경우에도 3천억달러를 내야합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부채규모를 줄이기 위하여 미국의 금리인상 -> 미국 투자수요 증가(예금이자와 유사) -> 달러 수요 증가 (강달러) -> 원화수요 감소 -> 환율 상승 -> 타국가 인플레이션 -> 부채규모 상대적감소를 노리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입장에서는 달러화 강세가 수입 물가를 낮추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억제에 도움이 됩니다. 반대로 신흥국에서는 통화 가치 하락이 수입 물가를 밀어올려 인플레이션을 부추기고, 외국인 자금 유출 압력이 커지는 악순환에 빠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