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계교란종 퇴치가 어려운이유??
한국에서 배스 뉴트리아 황소개구리 악어거북 등 국차차원이든 반려동물로의 수입이든 한국에들어와서 생태계교란종이 된 생물들이 한국 기후에 적응을하고 토착생물을 없애버리고 더 나아가 한국 고유의 생태계를 위협하는데 퇴치가 어려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물론 어류나 양서류 설취류들은 한번 번식하때 엄청나게 부화를 할테니 많이 발생이 되겠지만 퇴치가 가장 어려운이유가 무엇일까요?
생태계교란종 퇴치가 어려운 주된 이유는 이들의 강한 번식력과 적응력, 그리고 천적의 부재 때문입니다. 외래종은 유입된 환경에서 천적이 없거나 매우 적기 때문에 개체 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며, 토종 생물보다 환경 변화에 빠르게 적응하여 기존 생태계를 압도합니다. 또한, 넓은 서식지에 퍼져 있어 물리적인 포획이나 제거가 매우 어렵고, 생태계 전체의 균형을 되돌리기 위한 노력이 장기적으로 필요하며 막대한 비용이 수반됩니다.
1명 평가말씀하신 번식력도 분명 문제이긴 하지만, 그 외에도 다양한 이유가 있습니다.
생태계교란종들은 대개 다양한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한국의 기후 조건에도 성공적으로 적응하여 전국의 강이나 호수, 습지, 논, 밭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살아남고 번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특정 지역에 국한되지 않고 넓은 범위에 퍼져 서식하기 때문에, 퇴치 작업이 어렵고 지역 간 이동으로 인해 재발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죠.
게다가 외래종은 본래 서식지에서는 포식자나 경쟁 종에 의해 개체수가 조절되지만, 새로운 환경인 한국 생태계에는 이들을 제어할 천적이 없거나 부족합니다. 또한, 토착 생물들은 외래종에 적응하지 못하여 경쟁에서 밀리거나 먹이가 되는 경우가 많죠.
결과적으로 외래종은 토착 어류나 양서류, 곤충, 식물 등 다양한 생물을 먹이로 삼아 토착 생태계의 먹이사슬을 교란하게 되는 것입니다. 특히 배스나 황소개구리 같은 포식성 외래종은 토착 어류와 양서류의 유어 및 알을 대량으로 포식하여 토착 생물 개체수를 급감시키는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생태계교란종의 퇴치가 어려운 이유는 강한 생존력과 빠른 번식력, 다양한 서식지로의 빠른 확산, 포획 및 식별의 어려움, 퇴치에 드는 막대한 비용과 인력 부족, 사회적 인식 부족, 그리고 법적·행정적 대응의 한계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정준민 전문가입니다.
고번식 강적응력으로 빠르게 퍼지고, 숨은 개체 파악, 포획이 힘들며, 제거 비용 및 기술도 부족해서요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