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특출난왜가리83
특출난왜가리83

ESG에 대해서 알려주시면 좋겠습니다.

ESG가 최근 기업 평가 등에 자주 사용되는 것 같은데 ESG의 의미와 유래, 누가 만들고 어떻게 평가하는지 등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ESG는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인 환경(Environment)·사회(Social)·지배구조(Governance)를 뜻하는 말로

    1994년 존 엘킹턴이 경제, 환경, 사회 등을 주장하면서 해당 개념이 정립되었고 더불어서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의 블랙록 래리핑크 회장이 이에 대한 언급을 하면서 널리 알려지게 된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구조(Governance)'의 약자로, 기업의 비재무적 요소를 평가하는 기준입니다.

    2004년 UN의 'Who Cares Wins' 보고서에서 처음 제안되었으며,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 기업의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윤리적 경영을 강조합니다.

    ESG 평가는 MSCI, Sustainalytics 등 전문 평가 기관이 기업의 탄소 배출 관리, 노동 환경, 경영 투명성 등을 조사하여 점수를 매깁니다.

    이 평가는 투자자들이 지속 가능한 기업을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며, 기업의 평판과 장기적 성장을 위해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ESG는 환경(Environmental), 사회(Social), 지배 구조(Governance)의 입니다.

    기업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이 개념은 투자자들이 기업의 장기적인 경영 성과와 리스크를 이해하도록 돕기 위해 도입되었습니다.

    1) 유래와 의미 : 2005년 유엔의 'Who Cares Wins' 보고서에서 처음 사용됐고 기업의 환경 보호, 사회적 책임, 투명하고 윤리적인 지배 구조 실천 정도를 평가하여 장기 생존 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2) 평가 방법과 주체 : 국제적으로 MSCI, FTSE Russell, S&P Dow Jones 등과 국내의 한국기업지배구조원(KCGS), 서스틴베스트 등이 평가하며 환경, 사회, 지배 구조 분야별로 세부 지표를 통해 평가합니다

    예를 들어, 환경에서는 온실가스 배출량, 사회에서는 노동 조건, 지배 구조에서는 이사회 구성 등을 평가에 고려

    3) 평가 과정

    1. 데이터 수집: 기업공시와 뉴스 등을 통해 ESG 관련 데이터 수집합니다.

    2. 분석 및 등급 부여: 데이터를 분석하여 ESG 성과와 리스크를 평가하고 등급을 부여합니다.

    3. 결과 발표: 평가 결과는 투자자와 이해관계자에게 제공되어 투자 의사결정에 활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SG 경영에 대한 내용입니다.

    ESG란 Environment, Social, 그리고 Governance의 앞 글자를 따온 것으로

    기업의 친환경 경영, 사회적 책임의 경영, 그리고 투명한 지배 구조 등을 의미하게 됩니다.

    즉, 이렇게 해야지 지속 가능한 경영을 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