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 시간이 길면 사망률이 높아지고 치매에 걸린다는 책을 봤는데 이게 신빙성이 있는걸까요?
안녕하세요 30대 건강에 별 문제 없는 남자입니다 :)
제가 일본의사가 쓴 "적게 자도 괜찮습니다" 라는 책을 우연히 보게 되었는데
그 책에서 나왔던 본문 캡처 해왔습니다. 1980년대에 미국에서 실험을 한 결과 잠을 7.5 이상 보다 많이 잔 사람은 사망률이 20% 높았다는 결과가 있었네요
그리고 9시간 넘게 자면 치매 확률이 있다 라는 기사도 보게 되었고요
사실 잠에 관련해서 별 문제 없이 잘 자고 했는데 이 책이나 기사 보면서
괜히 더 자면 건강에 해로워질까봐 신경쓰게 되고, 치매나 사망 확률이 높아지는건 아닐까 두려워지네요. 갑자기 잠도 안오고, 건강염려증이 생기고...
전문가분들의 의견들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정재 의사입니다.
의학논문을 에전부터 읽어보면 생각보다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뭔가 명확한 결론을 도출하기가 힘듭니다. 대규모 연구도 힘들구요. 아주 작은 표본을 토대로 낸 논문에 따라 결과도 꽤나 다르기도 하구요. 저논문은 제가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크게 신경쓸만한건 아니라고 생각이 듭니다.
수면시간은 많이 자든 적게 자든 치매 연관관계를 명확하게 얘기할 의사는 지금 아무도 없다고 생각이 들구요. 중요한것은 수면의 절대적양 뿐아니라 질도 중요한거기 때문에, 내가 자는 수면시간으로 인해 큰 피로감이 없다면 시간에 연연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수면 전후로 스트레스 관리나 수면환경만 잘 조성해주시면 크게 걱정하실일이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연구 결과는 연구자마자 자기가 가지고 있는 가설을 입증하기 위해 실험을 하게 됩니다.
잠을 자게 되면 몸에 있는 스트레스 수치가 낮아지기 때문에 오히려 몸에 건강에 도움이 되는 것이 맞습니다. 잠을 많이 잔다고 수명이 줄어들거나 하는 것은 아닐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록희 한의사입니다.
이 책의 내용은 참고만 하세요 모든 사람의 라이프스타일과 특성을 고려하지는 않았네요 뇌가 쉬고싶을때는 좀더 잠이 필요할수 있습니다 일률적으로 정해놓을수는 없습니다 거시적으로 너무 잠을 많이 자는것도 해로울수는 있다 정도로 알고 넘어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