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들이 소화를 잘 못해 토하는 경우 어떻게 해야 되나요?
성인들도 속이 안 좋아서 게워내게 되면, 속이 쓰릴 수도 있고 그런데
그런 경우가 아이들에게 발생한다면, 아이들의 경우는 더 할 거 같은데요.
만약에 아기가 소화를 못해 게워낸 경우, 속을 진정 시켜주기 위해서 어떠게 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잘생긴지어새218입니다.
아기들의 위는 입구가 꽉닫히지 않는 느슨한 구조입니다. 그래서 어른보다 토하기 쉽습니다 모유나 우유를 마신후 조금 토하는 것은 병이 아니라 일유라고 하는 것입니다, 트림하거나 포옹할 때 토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런 것은 생리적 현상입니다. 기분이 좋고 식욕이 있고 체중이 증가하고 있다면 걱정할 필요 없습니다. 하지만 구토가 계속된다면 의사에게 진찰을 받으셔야 합니다. 구토가 가라앉은 후 바로 많은 양의 물을 마시게 되면 다시 구토를 유발 할 수 있습니다. 구토가 진정되면 5~10분간격으로 숟가락으로 한입식 수분을 섭취하도록 도와주세요.숟가락으로 마셔도 토하지 않는다면 작은 컵으로 먹여보세요. 토하지 않고 30분 정도 지난 후에 100ML 정도 마실수 있다면 우선 안심하셔도 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과 같은 경우 나이대에 따라 다르지만
6개월 이전의 아이라면 다음번 식사를 할 때
소화를 할 수 있게끔 등을 지속적으로 두드리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아이가 어느정도 컸다면 토를 한 이후에는 수분 섭취를 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의 위는 입구가 꽉 닫히지 않는 느슨한 구조 입니다. 그래서 어른보다 토하기 쉽습니다. 모유나 우유를 마신 후, 조금 토하는 것은 병이 아니라 일유 라고 하는 것입니다, 트림하거나 포옹할 때 토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런 것은 생리적인 현상 입니다.
아이가 잘 토한다 라고 한다면
수유 중 공기가 들어가지 않게 하고 수유 후엔 트림을 시켜주도록 하세요.
아기가 수유한 직후에 뿜어내듯이 왈칵왈칵 토하는 경우라면 소아과 의사를 진찰 받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분유가 소화가 안 될 때는 분수토를 합니다. 게워내는 것과는 다른 정말 분수처럼 토하는 분수토를 하게 됩니다.
분유가 맞지 않아 토하는 건 소아과 진료 후 분유를 바꿔주시는게 좋고 분유를 급하게 먹어서 토했다면 한시간 정도 후에 다시 먹여 주셔도 됩니다.
이유식 시작하게 되면 중기, 후기로 넘어가게 되면서 갑자기 입자가 커지게 되면 소화를 못 시켜 토하게 되기도 하는데
그럴 땐 이유식은 하루 정도 멈추고 분유를 먹여 주고 입자를 잠시 부드럽게 만들어서 먹여주세요.
아이가 조금 더 자라 정말 음식을 먹고 체한 것 처럼 여러번 토하고 물까지 토한다면 병원 진료를 받아야 하고,
비상약으로 백초시럽을 미리 구비해 놔서 조금 먹여주시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이복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소화를 잘 하지 못해서 토를 한다면 소화가 되기 쉬운 죽이나 국 종류의 음식을 섭취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