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김치는 언제부터 빨간 김치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옛날 조선시대 김치색깔은 고추가루를 넣지 않아 백김치 상태로 먹었다고 들었습니다. 그럼 언제부터 빨간 김치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빛나라 하리 입니다.
빨간김치는 1766년 증보산림경제에 맨드라미로 김치에 붉은 물을 들였다는 기록이 나옵니다.
그렇기에 이 시점 부터 우리나라 김치가 붉게 즉 빨간김치가 되었음을 짐작 할 수 있겠습니다.
그리고 김치 라는 음식자체의 직접적인 유래는 추적하기 애매한 부분이 많지만
명료하게 요약을 해서 말을 하자면 농경민족들에게 나타나던 채소를 소금에 절여 장기 보관한 형태의
음식으로 유래를 추적할 수 있겠습니다.
현대 한국인의 대표 음식이고 세계적으로 알려져 있는 붉은 배추김치의 형태가 나타날 수 있었던 것은 아메리카
대륙에서 유래한 고추가 포르투갈로 상인들을 통해 동아시아로 전해진 이후 부터 입니다.
우리나라 김치가 빨간색을 띠게 된 것은 조선 후기, 대략 200여 년 전부터입니다. 원래 김치는 고춧가루가 들어가지 않은 백김치 형태가 일반적이었고, 고추 자체도 임진왜란 이후에야 한반도에 전해졌습니다. 하지만 고추가 처음부터 김치 양념에 바로 쓰인 것은 아니고,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김치에 고춧가루가 첨가되기 시작했습니다.
18세기 무렵부터 고추가 김치 양념에 본격적으로 사용되면서 빨간 김치가 등장했지만, 고추의 대량 재배와 고춧가루의 보급이 본격화된 것은 20세기 이후입니다. 1960년대까지도 고추 수확량이 많지 않아 지금처럼 새빨간 김치는 흔하지 않았고, 이후 고추 재배가 늘고 소득 수준이 오르면서 우리가 익숙한 빨간 김치가 대중화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