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의료 보험 이미지
의료 보험보험
의료 보험 이미지
의료 보험보험
귀한날쥐53
귀한날쥐5323.05.24

실손보험료 갱신으로 보험료가 많이 인상 되었는데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시 혜택이 어떻게 줄어드는 건가요?

실손보험료 갱신으로 보험료가 많이 인상 되었는데 알아보니 4세대 실손보험으로 전환하면 보험료가 많이 내려가는 대신 보장이 줄어든다고 하더라구요. 4세대 실손 보험의 보장이 어떻게 줄어 드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홍성종 보험전문가입니다.

    자기부담금이 많이 늘어 납니다.

    보장이 축소가 됩니다.

    급여 80%, 비급여와 3대비급여는 70%,

    통원공제금액은 급여에서 의원 1만원, 병원이상 2만원

    비급여는 그냥 3만원

    통원의료비 한도는 약제비 합산해서 20만원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4

    안녕하세요. 유재경 보험전문가입니다.

    기존 실비보다 자기부담금이 높습니다. 4세대의 자기부담금은 급여비용의 20%, 비급여비용의 30%를 자기부담금으로 설정되어 있고, 다른 보장도 일정 조건에서 보험금 청구 및 지급이 다소 까다롭습니다.

    무엇보다 만기가 5년으로 5년마다 재가입하면서 100세까지 이어갈 수 있는데 앞으로 변화하는 세대의 보험약관에 자동전환이 된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는 실비의 보장이 앞으로 더 않좋아지더라도 어쩔 수 없이 자동전환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손보험은 1~3세대보다 보험료가 적고 병원 치료 시 내는 자기부담금 비중이 높다. 금융위원회 자료를 보면 40살 남자 기준 1세대 평균 실손보험료는 월 4만749원, 2세대는 월 2만4738원, 3세대는 1만3326원, 4세대는 1만1982만원이다. 4세대 가입자는 비급여 진료비를 청구하지 않으면 이듬해 보험료를 5%가량 할인받는다. 반면 비급여 진료비를 연간 300만원 이상 쓸 경우 보험료는 3배 뛴다.

    1세대 실손보험은 대부분 치료비 전액을 보장받는다. 2세대부터 표준약관을 도입하면서 급여·비급여 등 조건에 따라 치료비의 10~20%를 가입자가 내는 자기부담금 제도가 생겼다. 3세대 자기부담률은 급여 10~20%, 비급여 20~30%다. 4세대는 급여 20%, 비급여 30%로 최저 기준이 올랐다.

    실비는 비급여부분에서 내가 낸돈의 90프로를 돌려받는 거지만 4세대는 자기분담율이 급여 20프로 비급여 30프로가 부담되는점

    그리고 할증이나 할인이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자동차보험처럼 보장받으면 보험료가 증가되죠


  •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4세대 실비 보험의 경우 건강보험 급여 80%, 비급여 70% 보장 상품입니다.

    이전 보험에 비해 보장 범위가 상당히 줄어든 보험입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4세대 실손 보험의 경우 급여 20% 비급여 30% 로 자기부담금이 늘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똑같은 금액을 청구하였을때 받는 금액이 더 적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