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새들은 추운 겨울에 물에 들어가 있어도 발이 시럽지 않나요

우리가 추운 겨울에 물에 발만 담궈도 굉장히 춥다는 것을 느끼는데요 새들 같은 경우는 찬물에 발을 담궈도 얼음 위에 있어도

발이 차갑지 않게 다니는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새들의경우 발에는 혈관이 많이 없습니다. 혈관이 없다보니 혈액의 따듯한 기운이 뺏길 가능성이 적어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새들은 발에 모세혈관을 적게배치해서 체온손실을 방지합니다. 혈액은 심장에서나오는 따듯한온기를 갖고있는데 모세혈관이많은 피부근처로 이동하면 바깥기온에 열을빼앗깁니다.

    조류들은 이러한영향을 최소화하기위해 모세혈관 배치를 적게하거나 털속에 발을 감추고있습니다.

  • 새들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한 효율적 혈액 순환 시스템을 가지고 있는데, 특히 발 부분에는 역류 열교환 시스템이라는 것이 있어, 따뜻한 동맥혈이 발로 내려가면서 차가워진 정맥혈과 열을 교환하여 체온 손실을 최소화하게 됩니다.

    또 일부 새들은 발에 두꺼운 지방층으로 발을 보호하며 빠른 신진대사를 통해 높은 체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이는 특히 추운 환경에서도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새들은 발에 있는 혈액 순환을 통해 발이 시리지 않도록 합니다. 새들의 발에는 동맥과 정맥이 가까이 위치하여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가기 전에 열을 교환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새들은 발의 혈관 구조가 특수하게 되어 있어서 차가운 물이나 얼음 위에서도 발이 시리지 않습니다. 동맥과 정맥이 가까이 붙어 있어서 따뜻한 동맥혈이 차가운 정맥혈을 데워주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조류의 발의 열전도차이에 있습니다.

    열전도법칙에 의하면

    접촉한 물체의 면적이 넓고 온도차이가 클수록 열의 전달이 빠릅니다.

    사람과 다르게 새의 다리혈관은 동맥과 정맥이 빼곡하고 정교한 그물망을 가지고 있는데

    동맥의 열이 정맥으로 빼앗겨 다리로 내려오다가 심장으로 복귀할때 열을 회복합니다.

    발의 온도가 낮아지는 구조이므로 열을 뺏길일은 없습니다. 또한 동맥에 있는 혈관밸브의 특성이 혈류속도를 조절할 수가 있어서 0도 이하로 떨어져 조직이 얼지 않게 막아줍니다.

    이러한 구조로 새의 발은 얼지않아 조직이 손상되지 않는 적절한 저온상태로 유지되고, 열손실도 막을 수 있게 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새들의 발에는 혈관이 밀접하게 배열되어 있어, 따뜻한 혈액이 발가락으로 흐르면서 발가락의 온도를 조절합니다., 따뜻한 혈액이 차가운 발가락으로 흐를 때 열이 전달되어 발가락의 온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근필 수의사입니다.

    새들이 겨울에도 물이나 얼음 위에서 발이 시리지 않는 이유는 특수한 순환 시스템 덕분입니다. 새의 다리에는 "역류열교환(counter-current heat exchange)"이라는 구조가 있어, 따뜻한 동맥혈이 발로 내려갈 때 차가운 정맥혈과 열을 교환합니다. 이 과정에서 열 손실을 최소화하고, 발로 가는 혈액이 미리 식기 때문에 체온을 유지하면서도 발이 얼지 않습니다. 또한, 새의 발은 근육이나 지방이 적고 주로 힘줄과 뼈로 이루어져 있어 열을 많이 빼앗기지 않으며, 피부도 차가운 온도에 잘 견딜 수 있도록 적응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