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EKOPFG
EKOPFG

코픽스 기준금리란게 있더라구요 이것을 무엇을 말하는 건가요

제가 아는금리는 한국은행에서 분기 발표하는 기준 금리와 그리고 국채 금리가

무엇인지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코픽스 금리라는게 있던데요 이 금리는 무슨뜻인가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는 은행들이 실제로 자금을 조달할 때 드는 비용을 평균 낸 금리입니다. 쉽게 말해 은행이 고객의 예금, 적금, 채권 발행 등으로 돈을 끌어올 때의 평균 이자율을 뜻합니다. 그래서 코픽스가 오르면 은행의 조달비용이 늘어 주택담보대출 같은 변동금리 상품의 이자도 함께 오릅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가 정책적인 방향을 나타내는 ‘기준이라면, 코픽스는 시장에서 실제 돈이 움직일 때 반영되는 ‘실질 조달비용이라고 보면 됩니다. 따라서 대출 금리를 볼 때 코픽스 변동도 같이 살피는 게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 기준금리는 시중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하는데 드는 평균 비용을 지수화한 것으로, 예적금, 금융채 등 다양한 자금 조달 금리를 가중평균해 산출합니다. 주택담보대출 등 변동 금리 대출의 기준금리로 활용되며, 코픽스 상승 시 대출 금리도 오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COFIX : Cost of Funds Index, 자금조달비용지수)는 은행의 자금조달비용을 반영한 새로운 대출 기준금리를 말하는데요. 코픽스는 정기예금, 정기적금, 상호부금, 주택부금, CD, RP, 표지어음, 금융채 등 다양한 수신상품의 금리를 가중평균해 산출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는 한국의 주요 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할 때 실제로 들어간 비용을 가중평균하여 산출하는 대출 기준금리를 말합니다. 코픽스는 국내 8개 은행이 예금, 적금, 금융채 등 다양한 수신 상품을 통해 조달한 원가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지수이며, 자금조달비용지수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는 한국은행의 정책금리와 달리, 주로 시중 은행의 변동금리형 주택담보대출 및 기타 대출 상품의 기준금리로 사용됩니다. 매달 은행들이 보고한 조달 금리를 전국은행연합회가 취합하여 매월 15일에 공시하며, 주식처럼 실시간으로 변하는 금리는 아닙니다.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물가 안정 및 경기 조절을 위한 정책적 금리인 반면, 코픽스는 은행의 실제 영업 비용을 반영하는 시장 실세 금리 성격이 강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이 대출을 해줄때는 기준금리와 추가적으로 가산금리를 더하게되며 여기서 가산금리를 적용할때 기준이 되는게 금융채 3~5년물이나 코픽스금리이며 여기다가 추가적으로 은행별로 +알파금리를 더하는 형태로 계상됩니다.

    그리고 이 코픽스는 시중은행의 자금조달에 들억가는 비용을 매월 계상하여 매월 15일로 반영되어 발표되는 금리입니다. 즉 은행들이 시중에서 자금을 조당할때 전체 조달의 평균비용을 코픽스금리라고 보시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코픽스 기준 금리에 대한 내용입니다.

    코픽스 기준 금리란 은행이 자금을 조달하는

    비용을 반영하는 지수를 의미합니다.

    즉, 은행이 은행에서 돈 빌릴 때 부여되는 금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코픽스는 은행들이 자금을 조달할 때 쓰는 평균금리입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와 달리 시중은행의 예적금, 채권 등 조달비용이 직접 반영되어 주담대 금리 산정에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