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오늘 은행주 전반적으로 좋은 흐름을 보여준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오늘 카카오뱅크는 무려 19% 상승을 하였고 KB금융 4% 그리고 다른 금융지주사도 1~3%대의 상승을 보여줬더군요.

요즘 금융사가 좋다는 이야기는 많이 들었지만 조정도 없고 특히 카뱅이나 제주은행은 20% 상승을 보여줄 정도로 금융주 흐름이 좋은데 오늘 은행주 전반적으로 좋은 흐름을 보여준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아니면 큰 호재가 없는 상황에서 순환매의 흐름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행주들이 전반적으로 좋은 흐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앞으로 있을 스테이블 코인이나

    주주 환원 제도로 인한 주가 부양 등

    여러 관련 이슈로 오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주는 이란-이스라엘 전쟁 휴전에 따라 은행과 직접적인 영향이 있는 원·달러 환율이 하락세로 전환하면서 큰 수익성 개선이 기대됨과 동시에, 올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 순이익이 예상되는 탄탄한 펀더멘털과 배드뱅크 자금지원 관련 불확실성 해소를 이유로 주가 상승세를 보여줬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에서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다면, 이는 경기를 부양하고 기업의 대출 수요를 늘릴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이어져 은행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경기 회복 조짐이 보이거나, 특정 산업의 호황이 예상될 경우 은행 대출 자산의 건전성 개선 및 대출 증가 기대감으로 은행주가 강세를 보일 수 있습니다. 글로벌 유동성 확대나 한국 경제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나올 경우, 외국인 및 기관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국내 금융주로 유입될 수 있습니다. 또한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저PBR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려는 정책으로, 은행주는 저PBR 업종에 해당합니다. 배당 확대,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환원 정책 강화에 대한 기대감이 꾸준히 은행주를 지지하는 요인이 됩니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에 대한 기대감도 반영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6월부터 국내 은행주인 금융지주나 증권주 흐름이 좋은 상황입니다. 우선 이는 상법개정과 관련되어서 자사주 의무 소각이 있으며 이로 인해서 금융지주나 증권주들이 자사주에 대한 의무소각이 확대될것이라는 기대감이 크게 작용되고 잇으며 거기다가 배당성향도 20~25%수준인데 반해서 향후 40%까지 올릴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국내 금융지주회사들인 배당을 많이 하게 되면 정부로부터 오히려 규제나 제재를 받게 되엇는데 이러한 요소가 사라지다보니 배당을 향후 크게 올릴 여건이 마련이 되면서 국내 금융지주와 증권주가 크게 오른 요소로 보시면됩니다. 거기다가 최근엔 원화스테이블코인 사업 이야기가 나오게 되면서 민간자본인 페이업체나 금융지주회사들도 수혜가 예상되는 네러티브 재료가 되면서 급등한 요인도 있습니다

  • 금융주는 대표적인 저 PBR 주식이라 상법 개정 같은 새로운 정부의 정책적 기대감 덕분에 올랐다고 볼 수 있고 지금 장이 금융주 뿐 아니라 전체적으로 좋아서 올라간것으로도 보입니다.

    카카오뱅크의 경우는 금융주와는 별개로 스테이블 코인 테마의 대표 종목 중 하나로 올라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주의 전반적인 좋은 흐름의 경우 이스라엘-이란의 일시적인 휴전과 더불어 카카오뱅크가 카카오페이와 더불어 원화 스테이블 코인으로 각광받으며 주가갓 상승하니 관련 금융주 모두 주가가 조금씩 상승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원화스테이블 코인의 경우 결제나 결제와 관련된 플랫폼을 기준으로 봤을떄 카카오와 관련된 돈이 나가는 곳은 뱅크이니 또는 스테이블 코인의 돈이 나가는 곳이 은행이니 이러한 관련주들이 실적이 상승하겠따는 기대ㅑ에 주가가 올라갔다고 볼 수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원화 강세 흐름 덕분에 금융사 자본비율이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생기게 되었습니다. 또한 금융지주사들의 주주환원 확대와 대통령의 증시 부양 정책도 큰 호재로 작용하게 되었습니다. 게다가 글로벌 금융주의 반등 + 투자 등급 밸류업 정책에 따른 외국인 자금 유입도 영향을 주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주의 전반적인 강세는 핀테크 관련 정책적 호재와 AI 및 플랫폼 사업 확장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다른 금융사의 경우에는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과 실적 전망에 의한 것으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