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예전에 말중 쌀은 팔다라고 표현을 하던데?

하고 많은 말중에 유일하게 쌀을 구매할 때 어르신들은 구매란 단어 대신에 팔다라는 표현을 사용하시던데 왜 구매를 팔다라고 표현을 하나요? 문맥상 맞지도 않은데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순금킹 시계퀸
    순금킹 시계퀸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에 쌀이 떨어지면 쌀사러 간다고하면 조상 영혼들이 화를 낸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쌀이 있는 것 처럼 쌀 팔러 간다고 이야기를 했다 합니다.

    그말을 들으면 조상들이 기뻐했다고 하는 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말에서 ‘구입하다 혹은 구매하다는 ‘사들임’, ‘사들이기’로 순화된 한자 단어입니다. 이는 ‘물건 따위를 사서 들여오다.’ 정도의 의미이고 ‘사다’는 ‘값을 치르고 어떤 물건이나 권리를 자기 것으로 만들다.’라는 의미이므로 두 단어를 완전히 동의어로 볼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또한 반대말은 ' 판매하다' 역시 팔다라는 우리말의 한자어 표현입니다. 오히려 사다, 팔다가 우리말 표현이고 구매하다 판매하다 가 한자말에 가까운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