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한은이 0.25% 금리인하를 했는데 미국은 금리인하를 재조정한다고 합니다 이렇게 되면 우리나라 물가는 더 오를 수밖에 없나요?

한은이 0.25% 금리인하를 한다고 했는데

미국은 최근 발표된 경제지표들에 의해

금리인하에 대해 전면 재조정한다는 기사를 봤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나라만 금리인하를 하는 것인데 이렇게 되면 물가에 더 악영향을 줄 수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가 금리를 인하하는 동안 미국은 경제 지표에 따라 금리 인하를 재조정하고 있습니다. 만약 우리나라만 금리를 인하하게 되면 금리가 낮아져 소비와 투자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물가 상승 압력을 더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미국이 금리를 유지하거나 인상할 경우 원화 가치 하락과 수입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어 물가에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인하는 경제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물가 관리를 신중히 고려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닙니다. 이번 한국은행의 0.25% 금리인하도 미연준의 0.5%빅컷 이후의 진행입니다. 미국의 금리변동에 따라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미국 금리인하 조정에 대한 내용입니다.

    아마도 미국의 금리인하 재조정은 다시 올리기 보다는

    내리는 속도 조절을 하겠단 것으로 보입니다.

    즉, 천천히 내리겠단 것입니다.

  • 우리나라가 금리를 인하하면서 미국은 금리를 동결하거나 천천히 인하할 경우 한국과 미국 간 금리 차이가 커지게 됩니다.

    이로 인해 원화 가치가 상대적으로 약해지면서 환율이 오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환율이 오르면 수입 물가가 상승하고 국내 물가에 압박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원유와 같은 주요 수입품의 가격이 오르면 에너지 비용을 비롯한 생활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 동결이나 천천히 진행되는 인하 정책은 달러화 강세를 유지하게 만들고 달러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아시아 통화들, 특히 우리나라 원화에 압력을 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가 금리를 인하를 지속하는 경우 국내 경기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는 있지만 환율 상승으로 인해 물가 부담이 증가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저는 다른 방향으로 보고 있거든요 금리는 이제 아무 의미가 없다라는 생각입니다 저 같은 경우는 평생을 최저 시급 받는 비정규직으로 전전긍긍해 왔는데요 저 같은 사람이 얼마나 많을지는 모르겠지만 굳이 돈을 쓴다면 라면이나 쌀값 정도입니다 치킨도 제일 싼 거만 먹습니다 그런데 왜 가격들이 다 오를까요 부유층들이 소비를 많이 해서 그럴까요 그래서 금리라는게 사실 별 의미가 없어 보입니다 요즘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미국이 재조정한다는 것은 다음번 통화정책에서의 기준금리이지 이미 인하한 부분이 아닙니다. 그리고 기준금리 인하를 해야 물가가 상승하는 것인데, 우리는 오랫동안 고금리 기조를 유지하다보니 물가가 비교적 안정화됐다고 보고 금리인하를 결정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현 기준금리 자체는 미국보다 훨씬 낮습니다.

    그러므로, 미국과 동일하게 금리 인하를 한다고 하더라도 절대적인 수치 상으로는 여전히 차이가 많이 나는 편입니다.

    미국은 0.5% P 추가 인하를 계획하였지만 생각보다 경제가 괜찮아서 금리 인하 폭을 줄일 수 있다는 말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정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도 인하를 우선 한다음에 물가와 관련된 지표가 정상화 되지 않으면 기준금리를 동결하거나 인상할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