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플리한라이트머스
플리한라이트머스

친구랑 노는건 좋아하지만, 금방 싫증내고 다른 친구와 놀려는 아이는 어떻게 대하면 좋을까요?

새친구를 사귀고 노는건 참 좋아하는데요. 친구에게 금방 금방 싫증내고 놀이를 그만두는 일이 반복됩니다. 아이가 꾸준한 친구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친구들 하고 노는 것을 좋아하지만 금방 싫증을 내는 이유는 놀이에 대한 집중력이 부족함과 친구의 감정을 공감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 입니다.

    우선은 아이가 무엇을 하던지 집중하고 놀이를 할 수 있도록 지도를 먼저 해주는 것이 먼저 이겠습니다.

    아이가 집중을 할 수 있는 활동으로 도움이 되는 것은 정적인 활동 입니다.

    정적인 활동으로는 책읽기, 블럭놀이, 퍼즐맞추기, 종이접기, 바둑, 보드게임, 그림그리기 등이 있겠습니다.

    그 후, 인성교육을 시켜주어 친구를 배려하고, 존중하고, 친구의 마음을 이해하고, 친구의 감정을 공감하며 놀이를 원만하게 진행하며 친구와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아이들의 경우에는 장난감을 여러가지를 가지고 놀고 싶어 하는 경우는 많습니다만 친구를 즐려하는 경우는 드물기는 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경우에는 다른아이와 놀려고 하는 이유를 파악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렇게 된다면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방법을 찾아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들이 사회생활을 잘 하기 위해서는 인간관계를 잘 형성해줘야 되는데 이렇게 한다면 어린이 되어서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지 못한다고 생각을 하니 참고해주시는게 좋을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수진 유치원 교사입니다.

    감정 표현을 가르치세요.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잘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지루하다 느끼면 그 감정을 친구에게 솔직히 말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가르쳐 주세요.

  • 안녕하세요. 신수교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관계의 중요성을 강조해 주세요. 아이에게 우정의 중요성에 대해 이야기해 주세요. 친구와의 놀이가 얼마나 재미있고 가치 있는지, 좋은 친구를 사귀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설명해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지속적인 놀이를 통해 관계의 중요성을 가르쳐주세요. 같은 친구와 함께 하는 것을 장려하고 놀이를 마친 후 감사의 표현을 하도록 도와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친한 친구들과 정기적인 모임을 만들어 주세요

    돌아가면서 생일 파티도 하고,

    자주 만나면서 친분을 더 깊게 쌓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의 사회적 발달을 이해하고 긍정적으로 바라보세요. 여러친구와 다양한 경험을 통해 사회성을 키우는 과정이므로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 안녕하세요. 오혜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놀이 중간에 친구의 감정을 고려하는 방법을 가르치고, 놀이를 마무리하는 연습을 해보세요. 또한 놀이시간이 끝난 후 친구와 대화하는 시간을 가지면 관계가 깊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꾸준한 친구관계의 중요성을 가르치고, 놀이에서 협력하는 방법을 연습하게 해보세요. 감정을 나누고 해결하는 대화를 유도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직 친구 관계를 유지하는 법을 배워가는 과정에 있습니다. 아이가 놀이 중 실망감을 느끼는 것은 친구와의 상호작용에서 기대가 맞지 않을 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모는 먼저 아이와 함께 친구 관계에서 생길 수 있는 갈등이나 차이점에 대해 이야기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친구가 너와 다르게 행동할 때도 있어, 그럴 땐 어떻게 해야 할까?"와 같은 질문을 통해 아이가 다양한 상황을 미리 생각해볼 수 있게 도와줍니다. 또한, 놀이의 목적은 즐거움을 나누는 것임을 강조하고, 때로는 양보하거나 친구의 의견을 들어주는 것이 관계를 지속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점을 가르쳐 줄 수 있습니다. 아이가 친구 관계에서 좌절감을 느낄 때는 격려하고, 이를 통해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돕는 것도 중요한 방법입니다. 부모가 긍정적인 모델이 되어 아이에게 협력과 배려를 보여주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