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SEC에서 스테이킹 규제에 대해 논의를 한다는데 어떤 종류의 규제이든 스테이킹의 규제자체가 가상화폐시장에 악재라 할 수 있나요?
미국 SEC에서 스테이킹에 관한 규제에 대해 논의를 한다고 합니다
스테이킹 규제가 시작되면 여러 방향으로 여러가지 해석들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은데
일반적으로
어떤 종류의 규제이든 스테이킹 규제가 시작되면
가상화폐시장에는 악재라 할 수 있나요?
혹시 스테이킹 규제로 가상 화폐 시장에 호재가 될 수 있는 규제 방식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SEC는 스테이킹 자체를 허가를 받지 않은 증권 중개업이라는 명목하에 이러한 규제를 하려고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러한 스테이킹 규제는 일반적으로 악재로 판단할 수 잇는데, 그것은 수익의 기회를 줄인다는 측면, 규제는 시장의 신뢰성을 감소 시킨다는 점에서 악재로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것이 아직 확정된 사안은 아니므로 지켜볼 필요ㅗ는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은 블록체인의 지분인증방식을 검증하는 하나의 단계로서 이를 법적으로 제재할 경우, 가상화폐 시장에는 악재로 볼 수 있겠으며 호재로 볼 수 있는 부분은 없을 것 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처음에는 악재가 될 수 있겠지만 오히려 스테이킹을 규제함으로써 급락하는 코인들을
막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즉 폰지사기와 유사한 코인들이 사라지고 좀 더 안심하고 스테이킹을 할 수 있는 코인이 정해질 수 있고
해당 스테이킹 코인이 크게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스테이킹 규제에 대한 내용입니다.
가상화폐의 입장에서만 보자면
어떤 종류의 규제이든 간에 악재가 될 수 있는데
특히 SEC에서 만드는 규제라면
더 큰 악재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SEC는 지분증명(Proof-of-Stake, PoS) 기반의 스테이킹 관련해서 증권법상 규제 대상 여부에 대해 업계와 지속적인 소통을 하고 있습니다. 지난 2023년 SEC 의장 게리 켄슬러는 스테이킹 토큰 역시 투자자들이 수익을 추구하기 때문에 증권성(Howey Test)를 가진다는 입장을 밝혔으나 최근 2025년 트럼프 행정부 들어 SEC의 스테이킹 규제에 대한 완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업계는 당연히 스테이킹은 단지 기술적 기능으로 증권성을 가지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최근 리플 코인의 증권성 관련한 오랜 논쟁에서 패배한 SEC라 시장은 스테이킹에 대한 증권성 부요 가능성을 현재 낮게 보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스테이킹은 많은 투자자들이 가상화폐를 보유하고 네트워크 유지에 참여하여 보상을 얻는 방식입니다. 규제가 강화되면 스테이킹 참여가 위축될 수 있고, 이는 해당 가상화폐의 유동성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스테이킹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래소나 플랫폼은 새로운 규제에 맞춰 운영 방식을 변경하거나 추가적인 법적 부담을 져야 할 수 있습니다. 이는 서비스 비용 증가나 서비스 축소로 이어져 투자자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규제 불확실성은 투자자들의 불안감을 증폭시키고 투자 심리를 위축시켜 전반적인 시장 하락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특히, 스테이킹을 통해 수익을 얻던 투자자들은 새로운 규제 환경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투자를 망설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SEC는 스테이킹 서비스의 법적 지위에 대한 명확한 기준 마련을 위한 다양한 의견 수렴에 나서면서 규제가 생기는 것이기에 가격 하락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