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강력한여새275
강력한여새275

혹시 우리나라의 시스템 반도체설계수준은?

우리나라는 반도체 강국이라고 하는데요. 시스템반도체 설계부분도 강점이 있는지 단순 위탁제조 생산에만 강점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강력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메모리 반도체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시스템 반도체는 설계 중심의 분야로, 우리나라는 메모리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져 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정부와 기업들이 연구개발 투자와 인재 양성에 집중하면서 시스템 반도체 설계 능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주요 기업들 역시 시스템 반도체 분야에서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어 점차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상황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에서 세계적인 강점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시스템 반도체 설계에서도 점점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중요한 플레이어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나 모바일 플랫폼 설계에서 경쟁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SK하이닉스나 여러 중소기업들도 시스템 반도체의 설계 및 개발에 주력하며 기술력을 강화하고 있죠. 이러한 점에서, 우리나라가 단순 위탁제조에 그치지 않고 설계 역량에서도 경쟁력을 키워가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시스템 반도체 설계 분야에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으며,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위탁 제조, 즉 파운드리 분야도 경쟁력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삼성전자, sk하이닉스와 같은 주요 기업이 시스템 반도체 설계 및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설계도 아시는 분들이 의뢰는 할 수 있는것이고, 모든것에 호환을 시키는 능력이 중요하지요. 반도체의 큰 강점을 가진 회사 삼성전자가 대표적으로 있을 것이고, 삼성이노베이션뮤지엄을 가시면 어느정도 공부가 가능하실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반도체 제조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지만 시스템반도체 설계 부분에서는 상대적으로 약점이 있습니다. 삼성전자와 같은 기업이 시스템반도체 설계와 제조 모두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설계보다는 메모리 반도체와 위탁 생산(파운드리)에 더 강점을 두고 있습니다. 시스템반도체 설계는 미국의 퀄컴, 엔비디아, AMD 같은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어 한국은 시스템반도체 설계에서 기술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정부와 기업들이 이를 인식하고 투자와 연구 개발을 확대해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반도체를 설계해주는 전문 업체는 팹리스(Fabless) 업체라고 합니다. 시스템반도체 분야에서 생산 공정없이

    개발 및 설계만 하는 업체인데요.

    우리나라에 팹리스 업체도 LX세미콘 등 대표적인 기업들이 있는데요. 사실 기술력은 뛰어나긴 하지만

    미국 같은 엔비디아 퀄컴 같은 기업은 없습니다. 기술력은 있으나 세계시장에서는 10위안에 들어가는 기업은 없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