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비상한곰242
비상한곰242

협십증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성별
남성
나이대
35
기저질환
고혈압
복용중인 약
혈압약 , 고지혈증

보통 협심증의 경우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십증을 구분하는데요.

상기 두 협심증의 경우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발병원인, 증상,치료등)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협심증은 심장에 충분한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 발생하는 상태로, 주로 가슴 통증이 특징입니다. 이는 안정형 협심증과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안정형 협심증은 일정한 패턴으로 발생하며 주로 신체 활동이나 스트레스 상황에서 나타나다가 휴식하면 사라집니다. 이 형태는 보통 심장을 공급하는 혈관이 좁아져 있는 경우에 발생하며, 증상이 규칙적으로 나타나고 예측 가능합니다. 반면, 불안정형 협심증은 예측하기 어려운 형태로, 갑작스럽게 발생하고 휴식 중에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심장 위험이 높아지고 심근경색의 전조일 수 있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 발병 원인으로는 안정형의 경우 주로 동맥경화에 의한 혈관 협착이 원인인 반면, 불안정형의 경우 혈전 형성이나 혈관의 급격한 변동에 의해 혈류가 막히거나 줄어들 수 있습니다. 증상은 가슴이 조이거나 답답한 느낌, 팔, 목, 턱으로 퍼지는 통증 등이 있으며, 불안정형에서는 발한, 구역, 호흡 곤란 등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치료는 안정형 협심증에서 혈관 확장제나 베타 차단제와 같은 약물 치료와 생활 습관 관리로 이루어지며, 불안정형의 경우 약물 치료와 함께 경우에 따라 시술이나 수술적 중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협심증의 경우 말씀하신 것처럼 안정형 협심증,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쉽게 말해 운동을 심하게 할 때에만 발생하는 가슴 통증인 경우 안정형 협심증, 쉴 때에도 종종 짧은 시간동안 발생하는 가슴 통증이 있는 경우 불안정형 협심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특히, 불안정성 협심증의 경우 관상동맥이 여러 혈전 덩어리들로 막혀서 좁아진 경우이기 때문에, 언제든지 심근경색과 같이 심정지의 상태로 이어질 수 있는 위험도가 높은 상태로 관리가 필요하며 누르는 듯한 가슴통증이 5분 이상 지속된다면 심근경색일 가능성이 있어서 그 즉시 응급실로 내원하셔서 의사의 진찰을 받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구체적인 가슴통증에 관련하여는 제가 아하 잉크에 작성한 글이 있으므로 링크 첨부해 드립니다.

    링크 : https://a-ha.io/experts/columns/43ac3fe7d5a71d68afcc2fdf9c718d5f?categoryId=41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안정형 협심증은 심장에 산소 공급이 일시적으로 부족해져 발생하는데, 보통 운동이나 스트레스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 발생하고, 휴식이나 약물로 증상이 완화됩니다.

    반면, 불안정형 협심증은 증상이 더 심하고 장시간 지속될 수 있어 심장마비로 이어질 위험이 크고, 긴급한 치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