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자격증

사회복지사 자격증

맑은시냇가
맑은시냇가

독거노인의 정서적 고립을 해결하기 위한 정책은 무엇인가요?

지역사회 내 독거노인 지원 정책은 대부분 돌봄 서비스나 식사 배달에 집중되어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정서적 고립이나 우울감 해소를 위한 프로그램은 상대적으로 부족한데, 이런 부분을 강화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은 무엇인가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경태 사회복지사입니다.

    독거노인의 정서적 고립 해소는 단순 돌봄을 넘어 관계망, 문화,디지털 정서 지원을 통합적으로 강화하는 정책이 필요한데요. 특히 지역사회 기반의 공동체 조성과 디지털 소통 능력 향상이 핵심으로 관계망 중심 정책은 노인이 지역사회에서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공간을 확대해 사회적 관계를 자연스럽게 형성하도록 지원해야 하고요. 그리고 자원봉사자, 주민, 청년, 노인을 연결하는 세대 간 교류 프로그램을 제도화하는 이웃 돌봄 네트워크가 필요하고 이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봅니다. 독거노인 정책은 지속성, 접근성, 맞춤형 설계로 해야 합니다.

    그리고 단순 취미활동이 아니라 정서적 교류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인 합창단, 연극, 공동 텃밭, 여행 동아리 등을 지원하고 기존 노인복지관 프로그램을 정서적 안정, 우울감 해소 목적에 맞게 재구성해야 합니다. 코로나19 이후 대면 접촉이 줄어든 상황에서 온라인 소통 능력은 필수입니다. 스마트폰, 화상회의 교육을 통해 가족, 지인과의 연결을 유지하고, 온라인 커뮤니티 참여를 돕는 정책 필요하고요.

    디지털 기기 보급과 함께 맞춤형 교육을 제공해 정보 격차를 줄이고요. 정기적으로 독거노인을 전문상담사와 심리상담사를 파견 방문해 우울감, 불안감을 관리하고요. 전화, 화상 심리상담 서비스를 공공 차원에서 제공하고 기존 방문 돌봄 서비스에 정서적 대화 상담 기능을 포함시켜 단순 생활 지원을 넘어선 돌봄을 실현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독거노인이 지역사회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소규모 일자리, 자원봉사 기회 제공이 필요하고요. 단순 수혜자가 아니라 사회적 기여자로서 역할을 부여해 자존감을 높일 필요가 있습니다.

    1명 평가
  • 독거노인의 정서적 고립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무엇인지 궁금한 것 같습니다.

    독거노인의 정서적 고립 해소를 위해서는 단순한 돌봄을 넘어선 ‘사회적 연결망’ 구축이 핵심입니다.

    마을 단위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통해 노인이 일상적으로 사람들과 교류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을 통해 온라인 소통과 정보 접근을 돕고, 가족·지인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원

    문화·여가 프로그램을 확대하고, 자원봉사자와의 정기적 만남을 통해 정서적 지지를 제공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천지연 사회복지사입니다.

    독거노인의 정서적 고립문제는 사회적 연결망 강화, 정서적 지원 확대, 맞춤형 돌봄 서비스 제공 등 다각적 접근이

    필요 합니다.

    사회적 연결망 강화: 지역사회 중심의 다양한 프로그램과 정기적 교류 기회를 통해 독거노인의 사회참여를 확대하고,

    가족.이웃.지역사회와의 연대를 강화해야 합니다.

    정서적 지원 및 상담 확대: 전문상담, 심리치료 등 정서적 지원 서비스를 확대해 독거 노인의 정신 건강을 증진하고,

    외로움과 우울감 완화에 힘써야 합니다.

    맞춤형 돌봄 및 정책지원: 일상생활지원, 건강관리, 안전한 주거 환경 조성 등 맞춤형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부.지자체의 정책과 복지 서비스를 강화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엄자영 사회복지사입니다.

    독거노인들은 분명 여러 문제점이 있지만

    그 중에서 가장 큰 문제점은 사람과 대화가 없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가능하시면 사회복지사분들이 틈을 내어 전화를 하시거나

    주변 사람들과 독거노인을 연결해주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임경희 사회복지사입니다.

    독거노인의 정서적 고립과 우울감을 해소하기 위한 현실적인 정책은 독거노인에 맞춰 정서적 교류와 건강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맞춤형 방문 돌봄서비스를 확대하고 스마트기기를 활용하여 집에서도 참여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소통할 수 있는 정책도 필요해 보입니다. 그리고 거주지 주변 경로당이나 복지관 등 소규모 모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지역주민간 교류를 촉진하는 정책도 현실적으로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