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아하 그렇구나 진심으로 좋아요
아하 그렇구나 진심으로 좋아요24.01.08

뉴스를 보면 거시경제 라는 말을 사용하는데 어떤 의미 인가요?

안녕하세요.

오늘도 좋은 날 되십시요.

질문에 제목처럼 뉴스를 보면 거시경제라는 하는 말을 사용하고 있는데요 거시경제란 어떤 의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영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라는 용어는 경제학에서 주로 사용되는 표현으로, 전체 경제를 분석하고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춘 분야를 가리킵니다. 이는 개별 기업이나 가정의 경제 행동에 대한 분석인 '미시경제'와 대비되는 개념입니다.

    거시경제학에서는 국가 전체의 생산, 소비, 투자, 수출, 수입 등에 관한 이슈를 다룹니다. 또한, 이러한 경제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예를 들어 통화량, 금리, 물가, 실업률, 경제성장률 등을 분석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중앙은행이 금리를 조정하면 이는 전체 경제에 영향을 미칩니다. 금리 상승은 대출 비용을 높여 소비와 투자를 억제하며, 반대로 금리 하락은 대출 비용을 낮춰 소비와 투자를 촉진합니다. 이처럼 국가나 세계 전체의 경제 상황과 흐름을 분석하는 것이 바로 '거시경제'의 주요 관심사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거시경제라는 것은 포괄적인 용어로 일반적으로 뉴스에 나오는 경제시황들이 대부분 거시경제에 해당합니다.

    • 반대말로는 미시경제가 있는데 이는 수학 공식과 같은 것으로 세부사항들이 포함된 내용으로 이론적이고

      학자들 사이에서만 연구되는 학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일반적으로는 거시경제 위주의 경제를 주로 접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용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미시경제의 반대 개념입니다.

    미시경제학은 경제활동의 주체인 가계와 기업, 정부의 선택과 행동을 하나하나 구분해서 분석하고, 시장의 균형에 관심을 갖습니다.
    기업에서 생산량을 어떻게 조정해서 가격수준을 어떻게 유지하면 이윤이 극대화되는지 등을 연구합니다.

    이에 비해 거시경제학은 한 나라 전체의 경제현상을 분석해서 국가 전체의 소비, 투자 등을 연구합니다. 거시경제학은 경제추제 활동의 합을 대상으로 하며국민경제를 큰 그림으로 보는 것입니다.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소득, 물가, 실업률, 고용률, 경제성장, 국제수지, 환율 등이 거시경제학의 분야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란 모든 개별경제주체들의 상호작용의 결과로 인해 나타나는 한 국가의 전체적인 경제 현상을 분석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거시경제에서 다루는 내용으로는 GDP, 실업률 등을 다루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경제현상을 이해하고 설명하려는 이론체계가 경제학(經濟學, economics)이다. 경제학의 연구에 있어서도 분업과 전문화의 이점을 살릴 수 있다. 이러한 견지(見地)에서 거시경제현상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설명하려는 이론체계를 거시경제(巨視經濟, macroeconomics)라 한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라고 하는 것은 숲을 보는 것처럼 넓은 개념으로 경제를 바라보고 진단하는 것을 말하는 것이에요. 이러한 거시경제는 하나의 지표가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대부분이며, 거시경제 지표로는 금리, 환율등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큰 틀에서의 경제를 의미합니다. 한 나라의 경제성장률, 금리, 실업률 등의 지표로 국가적으로 또는 세계적으로 경기가 좋은지 안좋은지 보는거라 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시는 더 하위 개념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철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경제 전체의 흐름을 연구하는 경제학의 한 분야입니다. 거시경제학은 경제 전체의 생산, 소비, 투자, 수출입, 고용, 물가 등과 같은 거시경제 변수를 연구합니다. 거시경제학은 경제의 규모와 구조, 경제 성장, 경제 위기, 경제 정책 등을 연구합니다.

    국민소득은 경제 전체의 생산량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국민소득은 경제 성장의 지표로 사용됩니다. 물가는 경제 전체의 물건과 서비스의 가격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물가는 경제의 인플레이션과 디플레이션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실업률은 경제 전체의 실업자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실업률은 경제의 경기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국제수지는 경제 전체의 수출입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국제수지는 경제의 무역 균형을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됩니다.경제 정책은 경제 전체의 경제 활동을 조절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경제 정책은 경제 성장, 물가 안정, 실업률 감소 등을 목표로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라는 것은 국민소득 이론에 입각한 소비·투자·저축 등의 집계량을 가지고 국민소득의 결정을 논하는 경제학문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거시경제는 나무가 아닌 숲전체를 보는 개념의 학문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미시경제가 개인, 회사 정도 단위의 경제를 다룬다면, 거시경제는 도시, 국가, 세계 단위의 큰 범위에서의 경제를 다룹니다.


  • 안녕하세요. 이양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일단 반대되는 말을 이해하시면 쉽게 이해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거시경제와 미시경제의 차이를 보시면 쉽게 이해가 가실껍니다.

    거시경제 : 숲

    미시경제 : 나무

    위와 같이 생각을 하시고 거시경제는 안목을 넓게 보는 경우를 말합니다.

    예를들어, 거시 경제의 경우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의 불안심리 증가라고 한다면 미시 경제는 하부 항목으로 라면 가격 상승을 생각하시면 쉬울듯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가의 총생산, 소비 수준, 투자, 고용, 물가 수준 등과 같은 국가 전반적인 경제 지표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경제의 건강 상태와 성장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거시경제는 국가 경제의 큰 그림을 파악하고 정책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