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과 증권사 irp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irp계좌는 퇴직연금 계좌로 많은 분들이 공제를 위해서 납입합니다. 보통 은행아니면 증권사에서 가입하던데 장단점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은행과 증권사의 IRP의 장단점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증권사 IRP는 투자 상품이 더 다양하다고 봐야 합니다.
이에 비해서 은행은 투자 상품이 제한적입니다.
이 외에도 거래 방식이나 수수료 면에서도
은행이 증권사에 비해서 나은 점이 거의 없기 때문에 가능하시면
증권사에서 IRP 계좌를 만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은 은행상품만 거래되고 증권사는 증권상품만 거래됩니다
즉 평소 주식은 안하고 예금이나 적금 위주등의 안전자산을 선호하면 은행으로 가입해야하며 주식이나 상장리츠 그리고 국내상장 ETF를 모두거래하고 싶으시면 증권사에서 계좌로 이전하여 운용해야 합니다 또한 서로 취급하는 펀드상품도 다르고 아무래도 증권사가 이런 펀드나 채권등 이런 투자자산 취급상품도 더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 IRP의 장점
안정성 및 접근성, 투자 초보자에게 적합
단점
낮은 수익률 가능성, 높은 수수료
증권사 IRP의 장점
다양한 투자상품(펀드, ETF, 리츠 등 실적배당형 상품 제공)
높은 수익률 기대
저렴한 수수료
단점
높은 투자위험(원금 손실위험)
복잡한 상품운용(금융지식 부족한 투자자에게 다소 어려울 수 있음)
결론적으로 본인의 투자 성향을 고려하여 IRP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 IRP는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상품이 많고 예금 중심의 운영이 가능해 안정성이 높습니다.
증권사 IRP는 다양한 펀드 투자 선택지가 있어 수익률을 높일 기회가 있으나 변동성도 존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 IRP 이 경우는 안정적 상품(예금, 채권) 중심, 낮은 리스크(연 3~4% 수익률) 그리고 계좌 관리 간편하고 고객 상담 접근성 높다는 장점이 있고 단점으로는 투자 옵션 제한적(주식, ETF 비중 낮음)이며 수익률 낮고 수수료(연 0.5~1%)이 운영상품에 비하여 상대적 높다 봅니다.
증권사 IRP의 경우는 다양한 투자 상품(ETF, 주식, 펀드 등)과 고수익 가능(연 5~10%)이 가능하며 비대면 관리 편리가 편하고 수수료율이 낮은 반면 시장 변동성에 따른 리스크가 크고 투자에 대한 지식이 요구됩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IRP와 같은 경우에는 노후 자금이기에
납입한 금액에 대하여 세액공제 헤택이 있고
금융상품에 투자할 수 있으나
단점으로는 납입한다면 출금이 어려우니
참고하세요.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은행과 증권사의 irp의 경우는 그 성격부터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은행의 경우에는 보수적, 증권사에는 보다 공격적인 방법으로 접근이 되며, 은행의 경우에는 은행의 상품 답게 예금이나 채권 등에 대한 투자가 주로 이루어집니다. 증권사의 경우 etf나 펀드, 주식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만 예금자 보호의 상품의 경우 은행 irp의 경우 대부분 해당이 되지만, 증권사의 경우는 예금의 상품에만 해당이 된다고 볼 수 있고, 투자의 목적으로는 보호가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IRP 계좌 고를 때 은행이냐 증권사냐 고민하는 사람 많습니다. 은행은 접근성이 좋고 상담받기도 편합니다. 근데 솔직히 수익률은 좀 아쉽습니다. 예금이나 원리금 보장형 상품 위주라 안정성은 있는데 수익은 크지 않죠. 반대로 증권사는 선택지가 많습니다. 펀드나 ETF 같은 투자상품을 다양하게 담을 수 있어서 적극적으로 운용하려는 사람들한테는 매력적입니다. 대신 변동성이 있으니 괜히 걱정되는 부분도 있고 신경을 좀 써야 합니다. 저 같은 30대 입장에서는 안정성을 우선할 건지 아니면 장기적으로 조금 더 수익을 노려볼 건지 그 기준에 따라 갈리더군요.